글번호 : 18579769

작성일 : 12.11.12 | 조회수 : 213

제목 : 이슬람 원리주의와 중동 정치, 장병옥(2008)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SAVE0001.jpg

책 소개 
이슬람 원리주의는 서구의 물질적인 그리고 종교 문화적인 침략으로부터 무슬림 국민들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이슬람 체계를 유지하고자하는 이슬람 부흥주의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지난 2세기 동안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매우 정치적인 저항운동을 벌였는데 그것은 서구의 정복정책, 식민지화, 또는 무슬림 영토 내에서의 간섭에 대항한 것이었다. 지난 몇 년간의 극적인 이슬람 원리주의운동은 대부분 이란에서 나타났고, 이라크?아프가니스탄?알제리?터키 등에서 새로운 양상을 포함한다. 
이 책에서는 대표적인 현대 아랍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이집트와 이라크 그리고 비아랍 무슬림 국가 특히 시아파 이슬람 원리주의 종주국 이란을 중심으로 그 인접국 터키 및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정치화 과정과 함께 중동 국제정치를 고찰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이슬람 원리주의와 테러리즘
I. 서 론/ 11
II. 이슬람의 위기 환경과 원리주의운동의 발흥/ 13
1. 이슬람 원리주의의 속성/ 13
2. 위기 환경과 원리주의운동의 발흥/ 14 
III. 이슬람 지하드와 테러리즘/ 18
1. 지하드/ 18
2. 테러리즘/ 23
Ⅳ. 종교적 순교와 자살 폭탄 테러/ 27
1. 무슬림 순교의 기원/ 27
2. 자살 폭탄 테러와 순교/ 31
V. 결 론/ 34

제2장 이집트 종교운동과 이슬람 세력
I. 이집트 이슬람 원리주의운동의 역사적 배경/ 37
II. 이집트 정치문화와 이슬람 교육환경/ 41
1. 이집트 정치-종교 이중구조 환경과 이슬람/ 41
2. 이집트 이슬람 교육과 정치문화/ 45
III. 무슬림형제당과 이슬람 부흥주의/ 48
IV. 급진주의적 이슬람 단체와 원리주의 운동/ 59
1. 이슬람해방기구와 타크피르/ 59
2. 알-지하드/ 67
3. 타크피르와 알-지하드/ 75
4. 알 자마아 알 이슬라미야/ 81
V. 이슬람 세력과 최근 반정부운동/ 87 

제3장 이집트의 이슬람 종교정책
I.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 96
II. 나세르 정권의 이슬람정책/ 98
III. 사다트 정권의 이슬람정책/ 101
IV. 무바라크 정권의 이슬람정책 / 106 
V. 이슬람주의자의 정치참여와 전망/ 118 

제4장 이란의 이슬람화와 종교정책
I. 국가기구 속의 종교기관 : 신정일치의 정부형태/ 121
II. 이란 종교정책과 교육의 이슬람화/ 130
1. 이슬람 혁명과 교육정책/ 130
2.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교육정책/ 132
III. 이란의 비무슬림 소수 종교에 대한 정책/ 148 
1. 바하이교(Bahaism)/ 148
2. 기독교/ 150
3. 유대교/ 151
4. 조로아스터교/ 152
IV. 포스트 호메이니 시대의 이슬람 정책/ 153 
V. 이슬람화 정책 평가/ 163

제5장 호메이니 사상과 이란 이슬람 원리주의운동
I. 이란 이슬람 세계관과 국제정치체제/ 167
II. 시아주의와 이란 이슬람 원리주의의 사상적 기원/ 173
III. 팔레비조 하의 원리주의운동/ 179
IV. 호메이니의 이슬람 원리주의 사상과 법학자 통치론/ 184
V. 호메이니의 이슬람 공화국과 이슬람 국제주의/ 191
VI. 이슬람 원리주의 영속성과 전망/ 198

제6장 터키 이슬람 세속화와 이슬람 정치화
I. 터키의 초기 이슬람/ 202
II. 케말의 세속화 하의 원리주의운동/ 206
III. 멘데레스 민주당 정권의 이슬람 유화정책과 군부개입/ 211
IV. 제2공화국하의 제도권 이슬람 운동; NSP의 원리주의운동/ 213 
V. 이란 혁명의 충격과 터키 이슬람 원리주의의 정치화 과정/ 218
VI. 터키 세속주의자(Kemalist)와 이슬람주의자(AKP) 간의 정치권력 투쟁/ 224

제7장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정치화와 탈레반 세력
I. 아프가니스탄 원리주의의 기원/ 232
II. 아프간의 범이슬람주의와 정치화 과정/ 236
III. 이슬람주의와 무슬림청년운동/ 241
IV. 다우드 정권의 반이슬람정책과 이슬람 단체 결성/ 246
V. 아프간 내전과 무자헤딘 세력의 원리주의/ 250 
VI. 탈레반의 이슬람 국가건설/ 258
1. 탈레반 세력의 등장/ 258
2. 탈레반 정부와 이슬람/ 263

제8장 이라크에서의 시아 이슬람과 저항운동
I. 이라크 시아즘의 역사적 배경/ 275
II.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의 시아 저항운동/ 280
1. 1999년 민중 봉기 이후/ 284
2. 1990년대의 알-사드르 운동/ 286
III. 사담 후세인 이후 알-사드르 운동/ 291
1. 나자프 전투와 알 쿠이의 죽음/ 292
2. 알-사드르 도시와 항의시위/ 295
3. 파벌주의/ 299 
IV. 이라크 과도통치위원회와 시아파/ 304
1. 과도통치 위원회와 미군의 포로 학대 사건/ 304
2. 알-사드르의 휴전협정 제안과 임시정부 구성 초안/ 308
3. 시아파의 권력장악과 신정국가 전략/ 312
4. 이라크 과도정부 출범과 수니-시아파 갈등/ 315
V. 알-사드르의 집권 가능성과 전망/ 325

참고문헌 
부록'이슬람 역사 연보'
부록'찾아보기'

 

  • 목록으로
다음글 이슬람 경제의 이해 1., 정영규(2008)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