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8580700

작성일 : 12.11.12 | 조회수 : 299

제목 : [HK총서]미국의 대중동 중앙아시아 외교정책 - 장병옥(2009)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동은 석유와 자원을 둘러싼 패권문제와 지역적인 갈등, 핵문제 또는 테러리즘 등이 어우러져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지역이다. 또한 중앙아시아는 냉전이 종식되고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등장한 국가들로서 그 지정학적 차원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그들이 보유한 자원은 중동 못지않게 막대하다. 
미국은 표면적으로는 중동과 중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 실제적으로는 자원 확보와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서 당근과 채찍을 적절히 사용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서는 미국의 대중동·중앙아시아 정책의 실체를 파악하고 이 지역 정세를 파악하여 이 지역을 둘러싼 국제관계의 현 모습을 분석하였다. 

<목 차>

제 I 편 미국의 중동정책과 중동국가들의 대응 외교 
제 1장 서론 /3 
제 2장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이집트의 대응 외교 /9 
Ⅰ 서 론 /9 
Ⅱ 미국의 대외정책과 대중동정책의 기조 /11 
1.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의 논리 /11 
2. 부시정부의 대중동정책 기조_____19 
3. ‘대중동구상’의 배경과 주요 내용_____20 
(1) ‘대중동구상’ 배경과 과정_____20 
(2) ‘대중동구상’의 주요 내용_____26 
Ⅲ ‘대중동구상’에 대한 이집트의 대응외교_____29 
1. 외교정책 결정 요인_____29 
2. 외교정책 결정 행위자로서의 대통령_____35 
Ⅳ 무바라크 정권의 외교정책 기조와 ‘대중동구상’에 대한 대응외교_____38 
Ⅴ 결 론_____47 
제 3장 미국의 대중동구성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응 외교 정책 /49 
Ⅰ 서 론_____49 
Ⅱ 분석의 틀_____52 
Ⅲ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사우디아라비아_____53 
1. 민주화와 사우디아라비아_____55 
2. 시장화와 사우디아라비아_____58 
3. 테러와의 전쟁과 사우디아라비아_____60 
Ⅳ 사우디아리비아 대응 외교정책_____65 
1. 이익극대화 추구_____66 
2. 독자적 안전보장 추구_____69 
3. 중동안정화 추구_____75 
4. 걸프만(GCC)국가와의 협력_____75 
5. 유럽국가 및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 강화_____77 
Ⅴ 결 론_____78 
제 4장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시리아의 대응외교 /81 
Ⅰ 서 론_____81 
Ⅱ 시리아의 외교정책 결정 환경적 기본요인_____82 
1. 역사 및 지정학적 요인_____82 
2. 문화적 요인_____85 
3. 종족 및 종파적 요인_____86 
4. 인근국과의 관계_____87 
Ⅲ 알-아싸드 정권의 외교정책 목표와 기조_____89 
1. 범 아랍민족주의_____89 
2. 외교정책 결정구조_____91 
Ⅳ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시리아의 대응 외교_____92 
1. 미국과 중동국가들의 관계(Louise 2005, 283~305)_____92 
(1) 미국의 대중동정책 결정시 고려되는 정책적 요소들_____93 
(2) 미국의 대중동정책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국내 요인들_____95 
2. 미국과 시리아와의 관계_____97 
3. 대중동구상 결정 배경과 요지_____100 
4. 아랍국들의 반응_____102 
5. 시리아의 대응정책_____103 
Ⅴ 결 론_____105 
제 5장 미국의 대이란 정책과 대응전략 /120 
Ⅰ 이란-미국 관계_____120 
1. 팔레비 시대의 이란-미국 관계_____120 
2. 이슬람 공화국 시대의 이란-미국 관계_____128 
Ⅱ 부시 행정부의 對이란정책_____132 
Ⅲ. 부시 정부의 이란 핵개발 대응전략_____140 
Ⅳ 오바마 시대의 이란정책_____149 

제 II 편 미국의 중앙아시아 정책과 중앙아시아의 대응외교 

제 6장 서론 
제 7장 미국의 국제전략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정책 /161 
Ⅰ 미국-카자흐스탄 외교관계_____161 
Ⅱ 미국의 對카자흐스탄 핵정책_____169 
Ⅲ 미국의 對우즈베키스탄 외교정책_____174 
Ⅳ 결 론_____181 
제 8장 미국의 투르크메니스탄 정책과 파이프라인 건설전략 /184 
Ⅰ 이란-미국의 대립과 남북 경유 파이프라인_____184 
Ⅱ 이란-투르크메니스탄간의 파이프라인 개통과 미국의 유화정책_____188 
Ⅲ 결 론_____195 
제 9장 투르크메니스탄의 영구 중립주의 외교정책 /198 
Ⅰ 서 론_____198 
Ⅱ 국내정치 상황_____199 
1. 정치체제_____199 
2. 반정부 세력과 언론_____206 
3. 이슬람과 니야조프 정권_____210 
Ⅲ 투르크메니스탄의 중립주의 외교정책_____214 
1. 니야조프의 중립주의 외교정책 강령_____214 
(1) 국제법의 정의에 따른 투르크메니스탄의 중립주의_____214 
(2) 외교정책의 목적_____214 
2. 중립주의 외교정책기조_____218 
Ⅳ 투르크메니스탄 국제관계와 경제발전_____223 
Ⅴ 결 론_____231 
제 10장 미국의 타지키스탄 정책 /233 
Ⅰ 미국의 對타지키스탄 정책과 경제원조_____233 
Ⅱ 타지키스탄과 미국의 對이슬람 원리주의정책_____239 
Ⅲ 결 론_____247 
참고문헌 251 
찾아보기 259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