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50169785

작성일 : 21.02.12 | 조회수 : 112

제목 : 레바논 베이루트 폭발 사고로 드러난 질산암모늄의 위험성(2021.02.12)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2020년 8월 4일 잘못된 방식으로 저장된 2,750톤의 질산암모늄이 레바논 베이루트의 항구에서 폭발해 200명 이상이 사망하고 6,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수천 명의 베이루트 주민들은 폭발 이후 이주해야 했으며 여전히 공식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베이루트의 폭발을 우연한 사고로 여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질산암모늄의 남용은 다른 국가에서도 베이루트의 폭발과 유사한 큰 규모의 폭발을 야기할 수 있다. 국제사회는 질산암모늄의 남용으로 인한 미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레바논 정부를 지원하는 것 이상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질산암모늄은 비료 및 폭발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무취의 물질이다. 질산암모늄으로부터 생산된 질소비료는 전세계 1차에너지 수요의 1.2%를 차지하며 생산과정에서 미세먼지, 질산과 같은 오염물질, 폐수가 배출된다. 질산암모늄의 약 80%는 전세계 농산업에서 비료로 사용된다. 질소비료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물영양소의 저렴한 공급원으로 인기를 얻었다. 식물은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질소보다 질소비료의 질소를 더 쉽게 흡수하기에 질소비료의 사용은 작물수확량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비료 남용으로 인해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영양분이 고갈돼 농산업이 질소비료에 크게 의존하게 됐다. 질소비료와 같은 합성 비료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농가와 소비자의 건강, 환경 및 기후에 피해를 입힌다.

질소비료는 대기오염물질과 결합해 미립자 물질을 형성하는 암모니아를 만들어 낸다. 암모니아에서 나온 미립자 물질은 심장 및 폐질환을 유발해 농민들의 조기 사망을 야기한다. 질소비료에서 배출된 이산화질소는 전체 이산화질소 배출량의 60%를 차지한다. 이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300배 더 많은 열을 가두는 온실가스로 지구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토양이나 식물에 흡수되지 않은 비료 영양소는 토양과 수원을 오염시킨다. 수원이 오염되면 조류가 성장해 수중 산소를 고갈시켜 해양생물이 생존할 수 없게 된다.

일부 학자들은 질소비료 사용을 줄이는 것이 기근에 취약한 지역의 식량 안보와 주권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농생태학을 통해서 환경을 해치지 않고 충분한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농생태학은 식물, 동물, 인간 및 환경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해 지역의 전통적인 농업 지식과 관행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농생태학을 통한 식량생산은 생산과정에서의 탄소와 질소의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식량에 대한 전세계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국제연합(United Nation, 이하 UN)은 농생태학에 주목하고 있다. UN 사무총장 안토니오 구티헤스는 세계가 식량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을 촉구하기 위해 2021년 UN 식량 시스템 정상 회의(2021 UN Food Systems Summit)를 소집했다. 회의에서 국가들은 농생태학을 통해 식량을 확보하고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것이다. 그러나 아직 농업은 높은 이윤을 가져다 주는 질소비료에 의존하고 있어 질소비료 사용 감소에 대한 논의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질산암모늄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2026년 질산암모늄 시장은 190억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회의에서 국가들은 질산암모늄 시장의 축소를 위해 질소비료에 대한 보조금 제거 계획을 논의할 것이다. 보조금 제거는 질소비료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한 첫번째 단계이다. UN은 질소비료에 대한 보조금 제거를 위해 회원국과 협력할 것이다. 질산암모늄과 질소비료의 위험성에 대한 논의가 사전에 있었다면 베이루트 폭발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베이루트에서의 폭발과 같은 미래의 사고를 예방해 인간의 생명과 지구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세계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출처: Marcus A Orellana “Beyond the Beirut explosion: The many dangers of ammonium nitrate”, Al Jazeera, Feb 04, 2021 https://www.aljazeera.com/opinions/2021/2/4/beyond-the-beirut-explosion-the-dangers-of-ammonium-nitrate-use

기사 날짜: 2021.02.04 (검색일: 2021.02.07)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