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74887871

작성일 : 23.05.31 | 조회수 : 175

제목 : 이집트, 수단 난민을 성공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 (2023.05.31)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수단 교전이 시작된 이후, 이집트인들 사이에는 수단 교전이 경제, 인도, 안보 수준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연일 화두에 오르고 있다.

수천 명의 수단인들과 외국인들이 이집트-수단 간 국경 검문소를 통해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수단인들의 대규모 이주를 처리하는 사안과 관련하여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집트와 수단은 1,200km에 달하는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다수의 국경 검문소가 존재한다. 또한, 국경을 건너기 위해 철도, 버스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이집트는 수단에 거주하는 자국민을 대피시키기 시작했다. 그 규모는 약 10,000명으로 추산되며, 그들 중 대부분은 수단 소재 대학의 학생들이다. 주이집트 수단 대사관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이집트에는 수단인 50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으며,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에 난민으로 등록된 수단인은 6만명이 넘는다.

수단 및 남수단의 정치적, 경제적 긴장 격화로 인해 지난 수년 간 수단 출신 난민 수는 증가했다. 수단의 위기로 인해 수단인들은 자국을 떠났으며, 그들에게는 이집트가 최우선 선택지였다.

UNHCR이 2023년 3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집트는 시리아, 수단, 남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예멘, 소말리아 등 60개국의 난민 및 망명 신청자를 288,000명 이상 수용하고 있다.

UNHCR은 해당 보고서를 통해 “난민 및 망명 신청자들은 이집트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주로 이집트 수도 카이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다미에타’(Damietta), 일부 북부 해안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UNHCR은 “이집트의 어려운 경제 상황은 최근 수년 간 난민 및 이집트 국민의 수요를 크게 증가시켰다. 많은 난민들은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하지 못했으며, 이집트 내 인플레이션율은 증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수단 국민들이 이집트로 피신할 것이라는 예측은 이집트 대중 사이의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와 관련한 공식 입장은 현재까지 발표되지 않았으나, 대중은 SNS를 통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는 수단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SNS 활동과 수단인에게 비자 없이 이집트에 입국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기 위한 트위터 활동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아프리카 문제 전문가인 ‘라미 주흐디’(Rami Zuhdi)는 “수단에서 이집트로의 대규모 이주는 불가피하다. 수단 교전, 식량 부족 등의 위기, 경제 악화, 일자리 감소는 상당수 수단인이 이집트로 이주하도록 만들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주흐디는 “이집트는 독립 이후 현재까지 수단 문제에 가장 집중하는 국가다. 이집트는 현재 위기가 초래할 수 있는 경제적 압박과 안보 문제에도 불구하고 수단 국민에 대한 지원을 멈추지 않고 있다. 이집트를 위한 경제적, 정치적 지원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주흐디는 “이집트는 수단 국민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 ‘아르킨’(Arkin) 등의 국경 검문소에서 받은 보고서는 이와 관련하여 훌륭한 시설이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집트는 수단 충돌이 발생하기 이전에도 수단 국민들이 이집트에 거주하기 용이하도록 많은 시설을 제공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집트 알아흐람 정치전략연구소’(Al-Ahram Center for Political and Strategic Studies, ACPSS)의 ‘아이만 엘사예드 압델 와합’(Ayman El-Sayed Abdel Wahab) 부소장은 “수단인들의 이집트 유입은 앞으로 증가할 것이다. 수단 및 국경 지역에서 나타나는 모든 징후는 유입이 증가할 것임을 암시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압델 와합 부소장은 “이집트는 이와 같은 위기에 닥쳤을 경우 인도주의적 고려 사항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이 있다. 이집트는 지난 수년 간 아랍 및 아프리카 국가의 정치적, 안보적 혼란으로 인해 실향민 수백만 명을 수용했다. 하지만, 이집트는 많은 난민들이 이집트에 거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난민 캠프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압델 와합 부소장은 “추후 이집트 당국이 직면할 과제는 국경 검문소를 통한 대규모 유입이 필요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기관의 역량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갑작스러운 압력을 피하기 위해 수단 및 이집트가 시급히 협력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압델 와합 부소장은 이집트가 높은 인플레이션율, 세계 위기의 영향으로 가시적인 경제적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이집트를 찾은 수단 난민이 이집트 경제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단인들이 오래전부터 전쟁, 쿠데타 등으로 인해 이집트를 찾았기 때문에 이집트에게 수단 난민은 특별히 새로운 존재는 아니다. 이집트는 난민 수용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으나, 이집트의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인해 수단 난민이 환영받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했다. 국제인권기구인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 HRW)에 따르면, 이집트에 등록된 수단 난민은 공공 의료 서비스 및 교육을 받을 수 있으나, 인종 차별에 직면한 것이 현실이다. 난민과 관련하여 기존에도 마찰이 있던 이집트가 수단 내 충돌로 인해 수단 난민을 더 수용하게 되었다. 이집트가 수단 난민을 성공적으로 수용할 것이라는 기대보다 수단 난민 수용이 가져올 악영향에 대한 우려가 앞선다.

 

출처: ما خيارات مصر للتعامل مع ملف النازحين السودانيين؟, Aawsat, Apr 25, 2023 (제목을 클릭하면 원문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기사날짜: 2023. 04. 25(검색일: 2023. 05. 15)

-------------------------------------------------

김민수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