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8894269

작성일 : 12.11.27 | 조회수 : 340

제목 : 이-팔 교전 여파… 중동 핵무기 금지 회의 무산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한국일보 류호성기자)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교전 여파로 중동에서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WMD)를 금지하기 위해 내달 열릴 예정이던 회의가 무산됐다.

미 국무부는 23일 "중동정세 때문에 회의가 열리지 않게 됐다"며 "중동국가들 사이에 지역안보와 무기통제에 대한 깊은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회의는 2010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회원국 간 합의에 따라 내달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AFP통신은 아랍권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장으로 회의가 변질될 것을 우려해 이스라엘이 불참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란은 이달 초 회의 참석 의사를 밝혔지만 회의를 주도한 미국 러시아 영국은 이스라엘을 비롯한 모든 국가가 참석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영국 외교부는 내년에 가능한 한 빨리 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다각적인 논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로이터통신은 회의가 열리더라고 큰 진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도했다. 이란 등 대부분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의 핵무기가 지역안보에 가장 큰 위협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이스라엘과 미국 등은 이란의 핵개발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핵무기 보유에 대해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수백기의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란은 평화적 목적으로 핵을 개발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서방은 핵무기 개발이 속셈이라는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한편 뉴욕타임스는 이스라엘이 하마스와 벌인 교전은 이란과의 충돌에 대비한 전초전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교전을 통해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보유한 이란산 미사일의 성능을 평가하고 자국의 미사일방어 시스템을 시험해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 이란과 군사적 충돌이 발생했을 때 팔레스타인 쪽으로부터 협공을 받는 상황에 대비해 하마스의 전력을 미리 약화시킬 필요도 있었다.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