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8962391

작성일 : 12.11.30 | 조회수 : 338

제목 : ‘아랍의 봄’ 뒤엔 ‘고유가의 겨울?’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요르단 2주째 유가 인하 시위
보조금 없애 가격 뛰자 반발 커
사회적 합의 실패 땐 정권위협

요르단에서는 2주째 압둘라 국왕 퇴진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봄 중동을 휩쓴 ‘아랍의 봄’의 불꽃이 뒤늦게 요르단으로 옮아붙은 것일까.

요르단 시위는 민주화를 요구한 아랍의 봄과는 성격이 다르다. 요르단 시위대의 주장은 기름값 인하다.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 20억달러(약 2조1700억원)를 받는 조건으로 지난 15일부터 한 해 23억달러씩 들어가던 유가 보조금을 없애기로 하면서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미국 주간 타임은 28일(현지시간) 요르단 상황을 전하며 앞으로 고유가가 대규모 시위의 촉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네수엘라의 유가는 갤런(약 3.8ℓ)당 9센트에 불과하다. 이란(38센트), 사우디아라비아(61센트), 리비아(64센트) 등도 세계적인 저유가국이다. 산유국인 데다 한 해 수십∼수백억 달러가 유가 보조금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권위주의 정부에 저유가는 민심 이반을 막는 핵심 버팀목이다.

그러나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국제사회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더는 무시할 수 없게 되면서 고민에 빠진 나라가 적잖다. 나이지리아는 올 초 보조금을 없앴다가 기름값이 2배 이상 뛰고 폭동이 일어나자 보조금 폐지에서 감축으로 선회했다. 인도네시아도 보조금을 줄여 유가를 33% 올리려다 국민 반발에 못 이겨 지난 4월 포기했다. 한 해 보조금이 820억달러나 되는 이란도 슬그머니 감축 계획을 접었다.

타임은 “보조금은 주기는 쉽지만 거두기는 어렵다”며 “폐지·감축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정부는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