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13483874

작성일 : 18.11.07 | 조회수 : 112

제목 : <문화> 하루키 '난 자식 없어...원고・편지・책 모두 와세다에 기증' 글쓴이 : 일본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갈색 자켓에 감색 운동화 차림으로 기자회견장에 나타난 그의 첫 인사는 평범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69)의 37년 만의 기자회견은 이렇게 시작됐다. 인삿말은 평범했을지 몰라도 그의 회견 내용은 전혀 평범하지 않았다. 

4일 도쿄 신주쿠(新宿)구 와세다(早稻田)대학에서 진행된 회견에서 무라카미는 그동안의 작품 활동 과정에 쌓인 자필 원고와 편지, 장서, 또 작가 데뷔전 재즈찻집을 직접 운영했던 음악 마니아로서 소장한 레코드 2만여 장을 모교인 와세다대에 기증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1975년 이 학교 문학부 영화연극과를 졸업했다. 
  
회견에서 무라카미는 “40년 가깝게 소설가로서 글을 써오다 보니 자료가 쌓였다. (집)마루 바닥까지 엉망이 될 것 같아 4~5년 전부터 (기증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나에겐 아이가 없기 때문에 내가 없어지면 그 다음엔 (자료들이) 흩어질지 몰라서 그것도 곤란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 작품을 연구하고 싶은 이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보다 큰 기쁨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증품 중엔 대표작인  『노르웨이의 숲』(87년)을 집필할 당시의 대학노트가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그는 회견에서 “(『노르웨이의 숲』은)유럽에 머물며 대학노트에 계속 썼다. 그건 ‘초고’로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그게 남아있을지 모르지만, 있으면 기증하겠다”고 했다. 또 79년 데뷔작으로 군조(群像)신인문학상을 수상했던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에 대해선 “원고를 복사해 두지 않고 당시 (문학상을 주최했던) 고단샤(講談社)에 보낸 것 같다”고 했다. 무라카미는  『노르웨이의 숲』까지는 수작업으로, 그 이후 작품은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로 작업을 했다고 한다. 

회견에선 “(창작 과정을) 별로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는 않지만, 연구하는 사람들 입장에선 재미있을 수도 있겠다 싶다”고 말했다. 가장 큰 웃음이 터진 건 대학 측이 제안했다는 ‘하루키 기념관’ 관련 대목이었다. 무라카미는 “처음엔 ‘하루키 기념관’을 만들자는 안도 있었지만 내가 아직 죽지 않아서 … (그렇게는 안됐다)”라고 했다. 농담처럼 말했지만 그는 언제나 자신의 이름을 딴 이벤트에 소극적이었다. 가수 겸 작가 가와카미 미에코(川上未映子)와의 대담집 『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에선 ‘무라카미문학상을 만드는 게 어떠냐’는 질문에 “싫다”고 분명히 말했다. 
  
와세다대는 향후 ‘기념관’ 대신 관련 자료를 활용한 연구 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가칭 ‘무라카미 라이브러리’다.  무라카미의 작품은 현재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다. 전세계의 수많은 ‘하루키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무라카미는 회견에서 “문학과 문화의 국제 교류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하루키스트’ ‘무라카미 주의자’ ‘하루키 폐인’으로 불리는 전세계의 열성팬들에게도 와세다대가 성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기증 장소로 모교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선 “여러 장소를 검토했지만, (자료들을 위해) 가장 차분하고 안정된 곳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기증은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무라카미는 “내가 아직 살아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갑자기 전부를 보낼 수는 없고, 천천히 옮길 생각”이라고 했다. 
  
무라카미는 자신의 데뷔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가 영화화된 81년에 기자회견을 했다. 그 뒤 해외 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외국에서 진행된 회견을 빼면 일본 국내에서의 기자회견은 이번이 37년만이다. 
  
그래서 이번 회견엔 일본이 전체가 들썩댔다. 일부 신문은 1면에 기사를 실었다. 
  
무라카미는 ‘37년만의 회견’에 대해 “나에겐 (자료 기증이) 매우 중요한 문제라 직접 설명하는 편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더 어려운 질문이 나올지 모른다고 걱정했는데 모두 상냥한 질문을 해줘 좋았다”는 소감도 밝혔다. 
  
그는 미디어 노출에 인색하다. TV엔 아예 출연한 적이 없다. 지난 8월 도쿄 FM의 라디오 프로에 일일DJ로 출연한 게 처음이자 마지막 방송출연이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재즈찻집을 운영할 때 매일 밤 손님들의 대화 상대가 돼야 했다. 그 후로는 정말 이야기하고 싶은 상대와만 대화를 나누기로 결심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렇다고 사회문제와 담을 쌓고 사는 건 아니다. 2012년 일본 정부가 한국·중국과의 영토문제로 국민 감정을 자극하자 “일본 정치인, 히틀러 결말을 보라”며 아사히 신문에 비판 기고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2018-11-06 출처: 중앙일보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