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학생들에게 맞는 교육방법과 함께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장애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의 인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왜곡된 태도는 경험을 한계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왜곡된 태도는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왜곡된 시선으로 발전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선으로 인해 장애인의 장애 조건이 그 사람의 삶을 규정한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장애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을 알고, 그에 맞추어 교육하는 것은 왜곡된 태도를 바로잡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팁스에서는 강의실 상황에서 지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에 대해 어떻게 지원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강의실 환경
▷ 가능하다면, 휠체어 사용 학생을 항상 강의실의 뒤편에 위치하게 하기보다는 수강생의 자연스러운 일부가 될 수 있도록 원하는 위치에 있게 배려합니다. 강의실의 책상이 이동 가능한 경우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를 만들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 지체 장애 학생에게 필요한 경우 학기 시작 전에 강의실을 접근이 용이한 장소로 정합니다.
▷ 책상의 높이나 넓이가 휠체어 사용 학생에 맞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합니다. 대필자와 함께 사용하거나 필요 기기 등을 사용하기에 충분한 것이어야 합니다. 고정식 책상이나 책상, 의자 일체형은 필요나 형태의 책상으로 교체합니다.
▷ 지체 장애 학생이 수강에 필요한 접근 가능한 것과 접근이 어려운 것들을 항시적으로 관찰하여 학생과 함께 논의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실험실습실의 환경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학생에게도 충분히 접근 가능하도록 배려합니다. 실험도구를 장애학생이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나 방법으로 재조정할 수 있습니다.
▷ 휠체어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야 하는 학생들 중에는 대사 조절에 어려움을 갖는 경우가 있습니다. 강의실의 온도나 채광 등에 관심을 갖도록 합니다.
▷ 컴퓨터를 활용한 과제를 수행할 경우 필요한 사양이 갖추어진 컴퓨터를 제공하거나 그러한 시설이 있는 장소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2) 강의의 진행
▷ 강의 시간에 간혹 늦는 경우, 궂은 날씨나 기타 상황 때문에 그러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지체 장애 학생들은 필기를 독립적으로 하기 어렵거나 그 속도가 매우 느려 대필자나 녹음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현장 실습니다 견학 등 교외 수업을 할 경우, 일정을 미리 알려주고 교통편이나 해당 장소의 편의 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합니다. 간혹 현장 실습이나 견학 등이 어려울 때는 대체 과제를 부여합니다.
▷ 기기 조작의 어려움이나 위험 등의 이유로 실험 실습 등의 활동에 참여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전담 조교의 활용이나 다른 학생과 조를 이루게 하는 등의 대안적인 방법을 강구합니다.
▷ 실험 등의 활동을 끝마치는데 필요한 시간을 더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다른 학생들과 집단 학습을 권장하여 서로 돕는 학생을 하게 하고, 과제에도 협력하도록 합니다.
▷ 토론 시에는 말을 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시간을 갖고 기다리도록 합니다.
▷ 지체 장애 학생을 대할 때 다른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별적인 대우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하며, 특별한 대우도 마찬가지로 필요 없습니다.
▷ 수강 중에 별다른 양해 없이 교실을 나가는 경우, 용변이나 신체적인 특성상 그러할 수 있습니다.
3) 교재·유인물·수업 자료 등의 제공
▷ 교재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강의의 경우 페이지 당 글자가 너무 많아서 교의 설명을 빠르게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교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미리 제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필기를 하는 데 다른 학생들보다 시간이 더 필요한 경우 요약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장애 학생을 위하여 필수 교재나 부교재의 일부를 지정 도서로 지정하여 대출을 금하고 열람만 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조치 등을 협의할 수 있습니다.
4) 대신 필기를 해주는 학생(대필자)의 이용
▷ 상지(上肢)에 장애가 있는 학생의 경우 수강에 필요한 대필자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리포트 등 과제를 타이핑하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대필자의 지원을 허락합니다.
5) 과제의 부여 및 제출
▷ 여러 명이 함께 과제를 하는 team 과제의 경우 장애 학생과 지리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함께 하기 쉬운 학생들과 팀원이 구성되도록 배려합니다.
▷ 과제 작성을 위해 대필자를 이용할 경우 학생 입장에서는 직접 쓰는 것에 비하여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는데도 기한에 쫓겨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장애의 조건상 제한된 기일보다는 시간이 더 요구되는 경우 과제물 제출 기한 들에 있어서 융통성을 발휘합니다.
6) 시험 등의 평가
▷ 시험 문제는 가급적 간단한 문체를 사용하고, 단답식이나 객관식과 같은 유형의 문제를 출제할 때에는 문제들 간의 간격을 충분히 두도록 합니다.
▷ 시험지를 확대 복사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시험 문제를 시험지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쓰는 것보다는 두 장을 이용하여 각장의 앞면에만 시험 문제를 쓰고 답안을 적도록 합니다. 시험지를 앞뒤로 넘기는 것이 힘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답안을 적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신체적 특성상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므로 답안 작성에 충분한 시간을 허용합니다. 장애로 인한 학생의 피로도를 감안하여 시험 중간에 일정시간 휴식 시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시험 답안을 구술로 할 수 있습니다. 평가 시에는 구술의 특성상 문맥이 논리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감안합니다.
▷ 시험 준비를 위하여 study guide를 장애 학생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들에게도 제공합니다. study guide에는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 읽어야 하는 교재의 범위, 주제 등과 함께 문제의 유형 등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