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28510

작성일 : 07.09.17 | 조회수 : 526

제목 : [헤럴드경제][기획-산업화ㆍ 민주화를 넘어 이제 선진.. 글쓴이 : 교수학습개발센터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8월의 주제 新성장동력 위한 인재확보

기업들 전공능력.창의력 부족 대졸자에 불만

현장-교육 연계 강화…‘맞춤인재’양성 절실


‘실질 청년 실업률 19.5%(현대경제연구원) vs 100대 연구개발 기업 중 인력 부족 호소 42%(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대학은 졸업생 실업으로 고민하고, 기업은 쓸 만한 사람이 없어 안절부절이다. 해마다 175개 대학, 154개 전문대가 189만명, 81만명의 졸업자를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산업계는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도 세계 각국이 치르고 있는 경제전쟁의 핵심은 인재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려면 제대로 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대학의 변화가 시급하다. 지금 대학의 교육으로는 안된다는 경고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김영기 LG전자 부사장은 “무한경쟁 시대에서 기업은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 새로운 인재가 더욱 필요하게 됐다”면서 “하지만 대학이 배출한 신입 인재는 전반적으로 기업의 요구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공능력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창의력.적응력을 중요시하고 있지만 대학에서 이뤄지고 있는 교육은 그와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대학 졸업자에 대한 기업의 불만은 수치로 나타난다. 지난 5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이수영)가 근로자 100인 이상 321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은 42.3%가 ‘대학 교육이 기업 인력수요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해서’라고 불만족 이유를 설명했다.


대학 교육에 대한 기업의 불신은 신입사원 전형요소에서 학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낮아지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 신입사원 채용시 객관적 지표로 높게 평가되었던 학점의 중요도도 올해 조사에서 4%로 떨어졌다. 실업난으로 인한 학점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면서 대학이 평가하고 배출한 인력에 대한 기업의 불만은 가중되고 있다.


국내 대학에 대한 위기 지적은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나왔다. 올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 고등교육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OECD가 내놓은 제언의 첫머리가 고등교육과 노동시장과 연계 강화였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진화했지만 대학이 가르치는 수준은 그에 못 미친다는 진단이다. 마이클 갤러거 호주 국립대 교수 등 4명의 외부 전문가 평가단은 “시장과 고등교육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진로지도 등을 포함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노동시장 정보 제공을 확대하고,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대학이 수여하는 자격증, 학위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공신력 있는 평가관리 체계를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


국내외에서 연쇄적으로 터져 나오고 있는 이 같은 경고를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사실 대학 스스로다. 당장 내년 5월부터 ‘교육 관련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특례법안’이 발효되면 각 대학의 취업률은 만천하에 공개된다. 최근과 같이 실업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취업률=지원율’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대학의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 교육인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고등교육평가원이 설립되면 각 대학은 공식적 평가를 받아야 한다.


각 대학이 취업프로그램 마련, 실무능력 배양중심 교육과정 개편 등에 경쟁적으로 힘을 쏟는 배경이다. 교육부가 발표한 지난 6월 ‘대학 교육력 향상 지원방안’에도 대학 교육과정에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졸업생, 기업의 만족도를 조사해 대학 교육에 반영토록 했다. 대학 변화 속도를 높여야한다는 데는 기업, 대학, 정부 모두가 동감하고 있다. 물론 선진국형 기업 인재를 길러내는 양성소로 자리매김할 있수지는 대학의 노력에 달려 있다.


이재경 숙명여대 교수는 “국가 차원에서 고등교육의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고 해도, 정부 정책으로 다루지 못하는 대학 차원, 개별 교수의 강의실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면서 “대학은 연구소나 학원이 아니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어 “이제 연구경쟁력에 밀려 등한시돼온 교육경쟁력 강화에 눈을 돌려야 한다”면서 대학의 변화를 주장했다.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