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62108033

작성일 : 22.07.04 | 조회수 : 524

제목 : 인도연구소 HK+사업단, 제44회 콜로키움 개최 글쓴이 : 전략홍보팀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우리대학 인도연구소(소장 김찬완)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은 지난 6월 24(금), 대학본부 109호 회의실에서 ‘모디 정부의 힌두화와 인도 사회의 변화’라는 주제로 제44회 콜로키움을 개최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은 인도연구소 연구원들이 올해의 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공동으로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올해 인도연구소의 어젠다인 “힌두화”, 특히 모디 정부 이후 인도의 대전환 시기에 일어난 인도 사회 내의 강화된 힌두성을 종교철학/언어/역사/사회문화/정치경제 등 5개 분과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을 통해 진행 중인 각 분과의 연구 내용을 파악하고, 학제 간 공동연구의 가능성 측면에서 토론이 진행되었다. 특히 향후 콜로키움의 형태를 외부 연사 초청 형태가 아닌 연구소 내 연구원들의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원들이 직접 발표함으로써 학제 간 공동 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연구원들의 의견이 통일을 이루었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 주제는 아래와 같다.
심준보: 쉬바교 의례 연구 - 최근의 경향 중심으로
최지연: 신불교운동의 현황과 종교적 의미
양영순: 인도 전통의학의 현대화와 세계화
김용정: 힌디어 헤게모니 - 나그리 쁘라짜리니 사바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지현: 다언어 국가에서의 언어 헤게모니- 모디의 스피치를 중심으로
이춘호: 19세기-20세기 인도 회화에서 보이는 탈식민지 현상과 힌두화 과정
신민하: 1940-50년대 세속주의와 힌두민족주의 진영 간의 국가정체성 논쟁에 관한 고찰
Aditi Singh: Rewriting History Textbooks(NCERT) Through Saffronisation in the Modi Era
신진영: 인도 대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소수집단의 힌두화
상연진: 할당제 수혜자로서 하층카스트에 대한 상층카스트의 인식
지연정: India's Strategic Interest in Southeast Asia: Defense Co-operations in Transition
Rajiv Kumar: Explaining the Resurgence of State Capitalism in India under the Modi Era
김미수: Digital Financial Inclusion in India: Progress and Prospect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