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28257
작성일 : 07.09.17 | 조회수 : 291
제목 : 시험 운영하기 | 글쓴이 : 교수학습개발센터 |
![]() |
|
시험 운영하기 '대학생 55.6% 컨닝 해 본 적 있어' 학점이 취업과 직결되다 보니 학생들은 시험에 대해 예민해지고, 심지어는 컨닝을 하기도 합니다. 대학에 만연한 학생들의 부정행위를 적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시험 운영방법과 부정행위 방지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시험 운영방법 ◆ 시험에 대한 정보주기
√ 시험 날짜는 한번
결정되면 변경하지 마십시오. 시험날짜를 바꿔달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소수’ 뒤에 ‘침묵하는 다수’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 시험문제 출제 전략 1) 에세이 문제 - 사회과학, 인문학 분야의 학생들에게 가장 좋은 시험 양식입니다. 훌륭한 에세이 문제를 만들려면 암기를 강조하지 말고 강의 내용 중 중요한 주제를 가져다가, 학생들에게 수업이나 읽기 과제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해서 그 주제에 대한 자기 나름의 해석이나 생각을 적게 합니다. 또한 문제 출제 시에 ‘평가하라’, ‘비교하라’, ‘대조하라’, ‘논하라’, ‘설명하라’ 등의 동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다지선다형 문제 - 다지선다형 문제는 신정하게 작성만 한다면 학생들의 유추능력, 여러 가지 해석을 종합하는 능력, 자료를 분석하는 능력, 여러 가지 사건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능력 등을 시험해볼 수 있습니다. 다시선다형 문제를 작성할 때에는 정확한 단어들을 사용하고, 각 항목의 양식, 길이, 문법적 형태 등이 비슷해지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문제를 작성하신 후에는 선택항목 중에 정답이 정말로 하나밖에 없는지 문제를 세심하게 다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3) 단답형 문제 - 에세이와 다지선다형 문제의 절충형태입니다. 학생들의 부담도 적고, 채점을 하는 교수님의 부담도 한결 줄어듭니다. 단답형이라 하더라도 문제의 인물, 사건, 아이디어가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그 내용을 강의 주제와 연결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시기 바랍니다. 4) 구술시험 - 교수자의 질문에 학생들이 구두로 대답하는 시험으로, 상세하고 폭넓은 포괄적 질문도 가능하며, 특히 어학 강의에서 많이 활용하시는 방법입니다. 그런 일부 학생들은 구술시험에 많은 심리적인 부담감을 가질 수 있고 학생이 자신의 답을 수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구술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 녹음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tip. 시험 첫 부분에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힌트나 격려 코멘트를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학생들의 시험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tip. 시험 문제가 완성되면 다음의 문항들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시험 중 부정행위 방지법 대부분의 학생은 정직하지만 시험 중 부적절한 행동의 유혹을 느끼는 학생들이 간혹 있습니다. 따라서 시험을 볼 때에는 부정행위에 대해 주의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합니다. 다음은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강의자가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 다지선다형 시험문제 ◆ 중, 소형 강의 ◆ 대형강의 ◆ 오픈북(open-book)
시험 ◆ 강의실 뒤쪽에서 감독하시면 효과적으로 부정행위를 방지하실 수 있습니다. tip. 시험 중 부정행위 유형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