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FS HOME ENGLISH ADC AdminAdmin

교수진 전체

글번호 : 135423085 글쓴이 : 관리자
권석균 교수
20.04.07
12200
 
prof013.jpg
 

권석균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Minnesota대학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대에서 연구처장 겸 대외협력처장, 경영대학장 겸 경영대학원장, 글로벌경영연구소장 등을, 학술단체에서는 한국인사조직학회장, 한국전략경영학회장, 한국경영학회 통일경영연구포럼위원장, 경영교육연구(Korea Business Research)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한국인사조직학회에서 제1회 인사조직연구 논문상을, 한국경영학회에서 제14회 경영학연구 SK우수논문상을, 한국인사관리학회에서 2019년 지산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인사조직연구, 조직과인사관리연구, 경영학연구 등 국내외 저명 저널에 조직, 전략, 인사 분야의 여러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공공부문에는 기획예산처, 중앙인사위원회, 행정안전부, 서울지방노동위원회 등에서 공익위원 활동을, 민간부문에서는 4대 그룹을 비롯하여 다수의 대기업, 공기업 및 중소중견기업에 자문 활동을 수행하였다.

 

 

e-mail

skk@hufs.ac.kr

 

연락처

02-2173-3232 (연구실 638)

 

학력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경영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영학석사. 인사/조직 전공)

University of Minnesota 박사과정 졸업 (경영학박사, 조직/전략 전공)

 

경력 및 활동

1995~현재 한국외대 교수

1994~1995 숙명여대 경영학과 조교수

1997~1999 한국외대 최고경영자과정 주임교수

1997~1999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편집위원

1998-1999 한국경영학회 학술프로그램위원

1998-2000 한국인사조직학회 국제교류위원

1999-2000 한국외대 제2건학단 총괄기획위원

1999-2001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편집위원

1999-2001 한국인사조직학회 조직분과위원장

1999-2003 휴넷 사외이사

2000-2000 기획예산처 정부공공기금 평가단

2000-2005 크리에티즌 이사

2001-2002 한국외대 세계경영대학원 교학부장

2001-2004 한국경영학회 경영교육연구(Korea Business Research) 편집위원장

2002-2002 미네소타대학교 방문교수(Visiting Scholar)

2002-2003 한국인사전문가협회 HRPD분과위원장

2003-2004 한국인사전문가협회 사무국장

2004-2005 한국인사조직학회 학술위원장(부회장 겸)

2003-2006 한국외대 경영학부 학부장

2006-2007 한국전략경영학회 회장

2006-2007 한국외대 연구처장/대외협력처장

2006-2008 중앙인사위원회 역량평가위원

2007-2009 한국학술진흥재단 Program Manager

2008-2009 한국외대 기업경영연구소장

2008-2010 행정안전부 역량평가위원

2009-2011 한국인사조직학회 부회장

2010-2013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2011-2013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2011-2013 한국경영학회 통일경영연구포럼위원장

2012-2020 안랩 이사회 의장

2012-2013 한국인사조직학회 회장

2013-2015 한국외대 경영대학장

2014-2015 한국외대 경영대학원장

2017-2018 베를린자유대학 방문교수(Visiting Professor)

2019-2021 한국외대 경영대학장/경영대학원장

 

연구관심분야

조직 학습, 신뢰, 직무 정서와 감정, 직장내 다양성, 리더십, 기업문화, 국가혁신시스템, 통일경영, 한국형경영, 사회책임경영

 

주요논문

권석균, “신뢰의 진화와 팀활성화”, 인적자원관리연구, 2022, 29(3): 19-50.

이주용권석균,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지각된 조직문화와 CEO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021, 28(5): 43-67.

이주용・권석균, “중소기업 CEO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과업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과 자발적 동기의 이중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020, 23(1): 31-60.

조민수・권석균, “팀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업갈등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9, 31(2): 177-201.

안재현・권석균, “시나리오 접근법을 통한 전략적 CSR과 자선적 CSR의 인지적 해석이 조직매력도와 입사제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리경영연구』, 2019, 19(2): 29-62.

권석균・오승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동기부여 효과와 조직몰입의 매개역할”, 『인적자원관리연구』, 2019, 26(3): 81-102.
이주용・권석균, “중소기업의 개인-환경적합성이 효과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결정성 기반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중소기업연구』, 2019, 41(3): 23-47.

권석균・최보인・윤선영, “한국기업의 조직변화의 원천과 동인”,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8, 30(3): 1-21

권석균, “영화를 이용한 기업윤리와 CSR 교육 방법의 효과”, 『윤리경영연구』, 2018, 18(2): 29-55.

김국일, 권석균, “조직의 여유자원이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1996-2015까지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018, 42(4): 35-77.

권석균, “중소기업의 경영관리 이슈와 촉진방안”,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8, 30(2): 1-16.

권석균,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 태도: 아세안의 불교-이슬람 국가의 비교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018, 42(3): 135-160.

권석균, 최보인, “문화가치와 조직몰입의 관계: 아세안의 이슬람과 불교 문화권의 비교 연구”, 『동남아연구』, 2018, 27(3): 55-87.

권석균, "아세안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대한 종교문화권간 차이의 탐색", 『동남아연구』, 2017, 26(3): 47-73.

윤선영, 권석균, “조직 내 수직적 관계와 수평적 관계에서 종업원의 발언과 침묵”,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6, 28(3): 65-85.

오승희, 권석균, “직무정서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과 조직효과성”, 『인적자원관리연구』, 2016, 23(4): 35-54.

권석균, 오승희, 최보인, “자발적 동기의 활성화: 핵심직무특성과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과 성과행동”,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016, 40(2): 31-58.

윤선영, 권석균, “발언과 침묵: 리더십의 영향과 조직효과성”, 『인사조직연구』, 2015, 23(3): 43-71.

권석균, “인문학과 경영학: 교류와 통섭”, 『인사조직연구』, 2015, 23(2): 7-32.

권석균, 오승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HR부서의 역할 및 전문성이 조직의 인적역량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5, 27(1): 1-20.

최보인, 권석균, “구성원 성격 다양성이 팀 성과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14, 21(5): 47-71.

강봉식, 권석균, “신바람의 개념구조와 선행요인 및 효과성", 『인사조직연구』, 2013, 21(4): 123-158.

최보인, 권석균, “팀 구성원의 Big5 퍼스낼리티 특성과 팀 프로세스 및 효과성의 관계: 탐색적 연구”,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3, 25(1): 99-112.

유태영, 권석균, “위기의 자본주의: 경영과 조직 이론에 관한 새로운 이해", 『인사조직연구』, 2013, 21(3): 195-227.

김국일, 권석균, 강성원, “적대적 환경 하에서 조직변화 노력이 조직실패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013, 42(6): 1737-1778.

최보인, 권석균, “집단의 특성과 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정서 경험의 매개효과: 교차수준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012, 19(3): 173-194.

권석균, “통일시대 기업의 전략적 상황과 시나리오 경영”, KBR(Korea Business Review)(구 경영교육연구), 2012, 16(1), 119-141.

권석균, 최보인, “다양성이 팀 프로세스 활성화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012, 20(2): 1-46.

박종혁, 이정훈, 권석균, “자율관리팀 내 차별적 동료평가 성향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2011, 18(4): 81-95.

최보인, 장철희, 권석균,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효과성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구 인사관리연구), 2011, 35(1): 205-240.

권석균, “부서간 관계에서 협력당사자간 신뢰의 영향요인과 효과성”, 『인적자원관리연구』, 2010, 17(2): 95-120.

권석균, 최보인, “집단정서의 수렴과 영향요인”, 『인사조직연구』, 2010, 18(3): 141-173.

권석균, 최보인, “윤리경영 지침의 구성과 실천방안", 『글로벌경영연구』, 한국외대 글로벌경영연구소, 2010, 22(1): 61-85.

박종혁, 권석균, “다기능프로젝트팀의 다양성, 조직맥락, 팀 개발 기간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009, 38(5): 1273-1306.

윤선영, 권석균, “조직정서에 관한 이론적 고찰”, 『기업경영연구』, 한국외대 기업경영연구소, 2008, 10(1): 41-62.

박종혁, 권석균, “팀제 하에서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의 동기유발 효과: 과업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2006, 30(3): 87-119.

권석균, 박종혁, “자율관리팀에서 팀성과 기여수준이 동료평가 성향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한국외대 기업경영연구소, 2005, 7(1): 1-18.

박종혁, 권석균, “공공부문 목표관리(MBO)의 효과성 개선을 위한 제언: 평가공정성, 경력개발 지원, 상사신뢰를 중심으로”, 『경영연구』, 2005, 20(3): 203-230.

권석균, “부서간 협동관계에서 신뢰의 역할”, MIS 연구』, 한국외대 기업경영연구소, 2005, 16(1): 161-180.

권석균, 이춘우, “공기업 조직구성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리더신뢰”, 『인사관리연구』, 2004, 28(1): 173-208.

 Lee, B.H. & Kwun, S.K., “Public Policy toward the Innovation-Driven Economy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Management, 2003, Vol. 3: 267-281.

 Kwun, S.K. & Cho, N.S., “Organizational Change and Inertia: Korea Telecom,”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2001, Vol. 7: 111-136.

권석균, “한국기업의 사업부제와 부서운영의 자율성 : 10대 재벌그룹 중심의 탐색연구”, 『기업경영연구』, 한국외대 기업경영연구소, 2001, 3, 113-130.

 Saavedra, R. & Kwun, S.K., “Affective States in Job Characteristics Theor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0, Vol. 23: 131-146.

권석균, “지식경영과 인적자원 개발 및 교육: 역량중심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경영교육연구』, 2000, 4(1): 7-28.

권석균, “한국의 벤처 기업문화에 규범적 제언: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조화 관점에서”, 『국제지역연구』, 2000, 4(3): 51-75.

권석균, “부하의 상급자 신뢰에 상급자의 행동특성과 능력, 사회적 유사성 및 교환관계 특성이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000, 29(1): 189-218.

권석균, 이을터, “대인간 신뢰와 공유학습”, 『인사관리연구』, 1999, 23(2): 43-64.

권석균, “학습조직의 설계와 운영방안”, MIS 연구』, 한국외대 기업경영연구소 1998, 10, 130-159.

권석균, “직무정서의 구조적 특성과 영향요인”, 『인사조직연구』, 1997, 5(2): 1-53.

권석균, 이상운, “전략적 변화의 필요성 인식과 영향요인”, MIS 연구』, 한국외대 MIS연구소, 1997, 9, 123-151.

권석균, “조직학습과 학습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사관리연구』, 1996, 20(1): 3-24.

권석균, “조직학습의 영향요인과 전략적 조직학습관리”, 『노사관계연구』, 1995, 5(1): 187-213.

권석균, “조직학습의 이론적 조망”, 『인사조직연구』, 1995, 3(1): 121-164.

 Kwun, S.K & Cummings, L.L., “Role of Self-Esteem in Resolving Inequity,” Psychological Reports, 1994, Vol. 75: 95-111.

 Saavedra, R. & Kwun, S.K., “Peer Evaluation in Self-managing Work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3, Vol. 78: 450-462.

 

저서

『한국대기업의 경영특성』, 공저, 세경사. 1995.

『기업구조조정론』, 공저, 홍문사, 1998.

『감량경영 & 고용조정』, 공저, 한언, 1999.

『경영학 뉴패러다임: 조직 인사노사관계』, 공저, 박영사, 2002.

『지식기반산업연구』, 공저, 홍문사, 2004.

企業危機 管理革命, 권석균/이영면 저, 戶珍, 新華出版社(中國 北京), 2005.

e-MBA 인적자원경영』, 휴넷, 2005, 2008.

『통일, 기업에 기회인가 위기인가』, 공저, RHK, 2013.

인적자원관리공저시대가치, 2017, 2021.

새로운 시대의 경영학시대가치, 2022.


연구보고서

『경영대학(원) 통합인증 제도 및 작성편람』, 한국경영교육인증원, 2010.

『전문건설공제조합 비전 2020 및 경영전략』, 전문건설공제조합, 2010.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합리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한국DNA경영과 글로벌경쟁력』,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고속성장 중견기업의 대기업으로의 성장 실패원인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청-한국중견기업학회, 2015.

『한-ASEAN 지역밀착형 인적자본개발을 통한 노동환경 향상 및 창조경제 활성화』, 외교부, 2015.

Improvement of Labour Environments and Productivity in the ASEAN Countries』, ASEAN-SLOM, 2015.

『경영대학(원) 통합인증기준 보완연구』, 교육부-한국경영교육인증원, 2015.

 

학술대회 발표논문

Chakravarthy, B.S. & Kwun, S.K. "Managing Organizational Learning in Different Strategic Contexts," INSEAD Conference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trategic Renewal, France: Strategic Management Society, 1991, Dec.

 Kwun, S.K. & Chakravarthy, B.S. "Diversity and Sharing: A Study of Managerial Beliefs and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cademy of Management National Conference, Las Vegas, U.S.A., 1992, Aug.

 Saavedra, R. & Kwun, S.K.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Affect," Academy of Management National Conference, Las Vegas, U.S.A., 1992, Aug.

권석균, "Diversity and Sharing: A Study of Collective Cognitions about a Firm's Environment,"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1993년 4.

권석균, “조직변화: 조직학습의 관점에서”,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1993년 10.

신유근한정화김용준권석균박준성조영호, “한국대기업의 경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발표논문집, 1995 2.

권석균, “조직학습과 학습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1996 3.

박원우권석균, “인재상 정립의 방법과 내용: 한국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춘계발표회 발표논문집, 1996 5.

Cho, N. & Kwun, S.K. “Organizational Change and Inertia: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wo Korea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he 2nd Japan-Korea Symposium on Organization Studies, Seoul, Korea, 1997. Feb.

 Kwun, S.K. "Corporate Culture of Venture Companies in Korea: A Normative View,"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ational Business Culture & Cross-Cultural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in Europe and Asia (pp. 131-150), Seoul, Korea, 2000, Sep.

권석균, “인사조직분야의 연구방법론: 현황과 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2004 10, pp. 213-227.

권석균이정훈, “자율작업집단에서 동료평가 차별화의 영향요인”,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 8.

권석균최보인, “작업집단내 정서수렴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 2009 8.

권석균최보인, “팀제에서 다양성은 중요한가?”, 한국인사조직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년 11. pp. 275-299.

권석균, “전략경영관점에서 본 통일시대의 경영이슈”, 한국경영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 Plenary Session 발표논문집, 2011 8. pp. 1-17.

최보인권석균, “퍼스낼리티 구성이 팀 프로세스 및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2년 10. pp. 5-20.

김국일강성원권석균, “선택인가, 적응인가?: 적대적 환경 하에서 조직의 적응행동이 조직실패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3 4. pp. 221-254.

권석균유태영, “한국대기업의 조직경영”, 한국인사조직학회 춘계학술대회 Plenary Session 발표논문집, 2013 4. pp. 67-99.

권석균오승희최보인, "직무상황에서 자발적 동기와 긍정적 정서가 성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4 5.

최보인・권석균, "팀 구성원간 차이가 갈등과 효과성에 미치는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4년 5월.

이주용・권석균,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년 5월

권석균, “한국인사조직학회 30, 인사조직연구 28”, 한국인사조직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인사조직학회 30주년 기념 심포지엄, 202011.

오승희권석균, "인사제도의 변화는 조직인적역량을 변화시키는가“, 한국인사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2020년 11.

 

수상경력

1995. 전경련 추천도서상

1998. 한국인사조직학회 제1회 인사조직연구 논문상

2014. 한국경영학회 제14회 경영학연구 SK우수논문상

2019. 한국인사관리학회 지산학술상(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우수논문상)

 

학회 주요 활동

2001-2004, 한국경영학회 경영교육연구 편집위원장

2004-2005, 한국인사조직학회 학술위원장

2006-2007, 한국전략경영학회 회장

2009-2011, 한국인사조직학회 부회장

2011-2013,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2001-2014, 한국경영학회 통일경영연구포럼위원장

2012-2013, 한국인사조직학회 회장

 

Book Chapters

“조직학습의 이론과 논쟁”,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삼성경제연구소 편), 제1장, 1996.

“조직변화와 저항요인”, 『한국기업의 변화와 혁신』(한국인사조직학회 편저), 다산출판사, 제10장, 1997.

“한국기업의 자율분권 경영”, 『한국경영의 새로운 도전』(신유근 편저), 다산출판사, 제3장, 2002.

“Organizational Change and Inertia: Korea Telecom," in Managing Korean Business(Eds. by C. Rowley, J.S. Bae, & T.W. Sohn), Portland, Oregon, USA: Frank Cass, Chapter 6, 2002.

“지식경영: 조직학습의 관점에서”, 『21세기 매니지먼트 이론의 뉴패러다임』(이학종, 신동엽 편), 위스덤하우스, 제9장, 2008.



 
목록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