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전체메뉴
시험소개

등급기준표

본 특수외국어능력평가는 해당 외국어의 전반적인 능력(유럽공통참조기준 중 A1-B2레벨)을 측정하는 숙달도 평가입니다.

등급/점수

능력 검정 기준

B2
810~1000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전문 토론을 포함하는 구체적이고 추상적인 주제를 다루는 복잡한 텍스트의 주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쌍방 간에 큰 노력이 없이 원어민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을 만큼 준비 없이도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분명하고 상세하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고, 시사 문제에 대한 입장을 설명하고 다양한 가능성들의 장단점을 제시할 수 있다.

B1
310~800

업무, 학교, 여가 등과 같이 익숙한 문제에 대해 명확한 표준어를 사용하면 요점을 이해할 수 있다. 해당 언어사용 지역을 여행하면서 마주치는 대부분의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익숙하거나 개인적인 관심 분야의 주제에 대해 간단하게 이어서 말할 수 있다. 경험과 사건, 꿈과 희망, 목적을 기술할 수 있으며, 견해와 계획에 대해 짧게 근거를 제시하거나 설명할 수 있다.

A2
50~300

아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분야(예를 들어 신상과 가족 정보, 쇼핑, 주변 지리, 업무)와 관련된 문장과 자주 사용되는 표현들을 이해할 수 있다. 반복적이고 단순한 상황에서 일반적이고 익숙한 문제에 대해서 간단하고 직접적인 정보 교환으로서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간단한 표현으로 자신의 배경, 직접적인 주변 환경, 직접적인 욕구와 관련된 것들을 기술할 수 있다.

A1
0~40

구체적인 형태의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하는 친숙한 일상적 표현들과 아주 간단한 문장들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을 소개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어디에 사는지, 어떤 사람을 알고 있는지, 어떤 물건을 가지고 있는지 등의 신상에 관하여 묻고 대답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질문에 답할 수 있다. 대화 상대자가 천천히 분명하게 말하고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으면, 간단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유럽언어 공통참조기준(CEFR)은 유럽의 다중언어사용을 지원하는 유럽평의회의 주도로 2000년에 확정, 발표한 지침으로
    초보자(A1,A2), 중급자(B1,B2), 상급자(C1,C2) 6단계로 구분 됩니다.
https://www.coe.int/en/web/common-european-framework-reference-languages/table-1-cefr-3.3-common-reference-levels-global-scale

※ 2020년도 1회차 특수외국어능력평가의 경우 성적인증서에 기재된 등급 기준이 상기의 표와 다르므로 관련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FLEX센터(flexcfl2@hufs.ac.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