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8580727

작성일 : 12.11.12 | 조회수 : 246

제목 : HK총서] 중동분쟁과 이슬람 - 장병옥(2009)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책 소개 
페르시아만은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항상 강대국들의 상호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어 왔다. 페르시아만을 둘러싼 갈등과 분쟁은 늘 세계평화와 국제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이러한 갈등과 분쟁의 중심에는 항상 이슬람이 있다. 이 책은 중동 분쟁의 배경과 과정, 그리고 이슬람을 심도있게 고찰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3

제1장 국제정치와 페르시아만 안보 11
Ⅰ. 서 론 / 11
Ⅱ. 페르시아만 안보저해 요인 / 13
1. 민족문화적 이질성과 이슬람사상 / 13
2. 정치-경제적 역학관계 / 18
3. 걸프국간의 영토와 국경분쟁 / 22
Ⅲ. 페르시아만의 집단 안보체제 / 29
1. 페르시아만의 “두 기둥정책” / 30
2. GCC와 GCC+2 집단 안보체제 / 36
IV. 이란과 이라크와 미국의 對페르시아만 정책 / 43
1. 냉전 후 이란의 對페르시아만 정책 / 44
2. 이라크의 對페르시아만 정책 / 51
3. 미국의 對페르시아만 안보정책 / 60
V. 결 론 / 66

제2장 걸프권의 안보와 미국의 역할 69
Ⅰ. 서 론 / 69
II. 이란 및 걸프권의 안보와 미국의 역할 / 70
1. 미국의 對페르시아만 안보정책과 중동평화 / 70
2. 미국의 페르시아만 안보정책: 세력균형정책 對 2중 봉쇄정책 / 79
Ⅲ. 쿠르드 민족과 이슬람 원리주의의 기능과 역할 / 90
1. 이란 쿠르드 민족주의 운동과 이슬람 원리주의 / 90
(1) 쿠르드족과 중동 국제정치 환경 / 91
(2) 이란 쿠르드 민족주의 운동 / 97
2. 이란과 걸프권의 이슬람 원리주의 / 104
(1) 서구 제국주의와 이슬람 원리주의 / 104
(2) 이란 혁명과 걸프권의 이슬람 원리주의 / 111
Ⅳ. 결론 / 119

제3장 이란-이라크 전쟁 121
Ⅰ. 서 론 / 121
Ⅱ. 이란-이라크 전쟁의 원인 / 124
1. 지정학적 요인 / 125
2. 이란-아랍 민족적 갈등 요인 / 128
3. 이슬람 원리주의적 요인 / 130
Ⅲ. 이란-이라크 전쟁의 전개과정 / 135
1. 전개과정 / 135
2. 이란-이라크 전쟁의 평가와 양국에 미친 영향 / 145
Ⅳ. 페르시아만 주변국들과 미·소의 이란-이라크 전쟁에 대한 대응책 / 147
1. 페르시아만 아랍 제국의 대응책 / 147
2. 미-소 강대국의 대응책 / 148
3. 이란-이라크 전쟁과 한국경제 / 150
Ⅴ. 결 론 : 이란-이라크 전의 종전 / 153

제4장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하마스 156
Ⅰ. 서 론 / 156
Ⅱ. 팔레스타인 분쟁 원인 / 157
1. 영토적 원인 / 158
2. 외세 원인 / 159
Ⅲ. 팔레스타인 분쟁의 전개과정 / 166
1. 중동전쟁(제1차-제4차) 시기 / 166
2. 제1-2차 인티파다 / 168
3. 평화협정 시기(1990년대) / 172
Ⅳ. 분쟁과 하마스 / 175
1. 하마스의 설립 / 175
2. 오슬로 평화과정과 하마스 / 178
V. 팔레스타인 문제의 주요 쟁점과 오바마 시대의 對팔레스타인 정책 / 182
1. 팔레스타인 문제의 주요 쟁점 / 182
(1) 정착촌 및 분리장벽 문제 / 182
(2) 동예루살렘의 지위 및 귀속 관련 쟁점 / 183
(3)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의 문제 / 183
2. 오바마 시대의 對팔레스타인 정책 / 184
Ⅵ. 결 론 / 185

제5장 아랍-이스라엘분쟁과 이란의 역할 189
Ⅰ 서 론 / 189
Ⅱ. 이란-이스라엘 관계의 변화과정 / 191
1. 샤 통치기(1945-1979) / 191
2. 호메이니 통치기(1979-1989) / 196
3. 포스트 호메이니 시대(1989-2009) / 202
Ⅲ. 팔레스타인 문제와 이란 / 206
1. 이란 국민의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시각 / 206
2. 이스라엘의 對하마스 팔레스타인 침공과 이란의 대응 / 212
3. 중동평화과정과 이란의 정책 / 218
Ⅳ. 레바논 문제와 이란 / 228
1. 레바논-이란의 역사적 관계 / 228
2. 이스라엘의 對레바논 침공과 이란의 개입 / 236
V. 결 론 / 248

제6장 이란 핵위기와 오바마 미 행정부의 대응전략 250
Ⅰ. 서 론 / 250
Ⅱ. 이란의 핵 개발 착수 배경과 실체 / 252
1. 핵 개발의 착수 배경 / 252
2. 핵 개발의 과정과 실체 / 256
Ⅲ. 미국의 對이란 핵 정책 / 261
1. 부시 미 행정부의 패권적 일방주의 외교정책 / 261
2. 오바마 미 행정부의 유화적 다자주의 외교정책 / 265
Ⅳ. 결론 / 273

제7장 이란-이라크 커넥션과 시아 저항운동 276
Ⅰ. 서 론 / 276
Ⅱ. 이라크 시이즘의 역사적 배경 / 279
Ⅲ. 사담 후세인 이후 시아 저항운동과 알-사드르 운동 / 284
Ⅳ. 이란-이라크 커넥션 / 296
Ⅴ. 시아파의 권력장악과 이란 모델 신정국가 전략 / 304
Ⅵ. 결 론 / 311

제8장 이라크 전쟁과 포스트 사담 이라크 국가건설 313
Ⅰ. 서 론 / 313
Ⅱ. 이라크 전쟁과 부시 독트린 / 318
1. 전쟁의 명분과 부시 독트린 / 318
2. 전쟁의 실리적 명분: 석유자원 확보와 이스라엘 안보 / 324
Ⅲ. 이라크 총선과 향후 제문제 / 329
1. 쿠르드 독립문제와 이라크 연방제 / 331
2. 시아파 정권장악과 친 이란적 이슬람 색체 / 335
3. 수니파 정치과정 참여와 저항세력 달래기 / 338
4. 2005년 12월 총선 이후 정치과정 / 343
Ⅳ. 미국의 對중동 민주화 전략 / 348
1. 아랍권의 반발과 민주화 확산 / 349
2. 이라크 분할론 / 354
3. 미군 철수문제 / 359
Ⅴ. 한국-이라크 관계와 이라크 파병 / 364
1. 한-중동 외교관계와 이라크 파병 문제점 / 364
2. 아랍-쿠르드-투르크멘 갈등과 한국군의 안전문제 / 370
Ⅵ. 결 론 / 376

제9장 미국의 새로운 외교정책 기조: 오바마 행정부의 현안문제와 과제 379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