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86147887

작성일 : 24.05.28 | 조회수 : 32

제목 : <사설> 수단의 위기, 긴급 조치 필요 (2024.5.28)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지난 4월 수단 정부군과 수단의 준군사 조직인 신속지원군(Rapid Support Forces, RSF) 간 협상이 결렬된 이후, 내전이 전국을 휩쓸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수단에 쏠렸다. 수단 내전 속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수백만 명이 피난을 떠난 일은 아프리카 전역을 불안에 떨게 하는 인도적 재난의 시발점이 되었다.

수단 내전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민간인에 대한 무자비한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수단의 서부 지역인 다르푸르(Darfur)에서 특정 인종을 포함한 무차별 학살, 여성과 여아를 겨냥한 성폭력 등 잔혹 행위가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수단 사회는 이미 만연한 기아 문제와도 대치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난민 문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수단 내전이 발발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850만 명이 집을 떠나 피난길에 올라야 했고, 상황이 악화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이주하고 있다. 유혈 사태를 피하고자 거의 200만 명이 국경을 넘어 차드, 남수단, 이집트 등의 주변 국가로 향하고 있다. 심지어 피난처를 찾고 있는 사람 중 절반 이상이 아동이다. 이웃 국가들은 도움이 절실한 이에게 손을 내밀었지만, 이미 일부는 지원에 대한 부담과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수단은 곧 세계 최대의 기아 위기를 직면할 위험에 처해있다. 수단에서는 지난 2월 식량 가격 상승률이 110%를 넘어가면서 거의 1,800만 명이 극심한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다. 남수단의 약 700만 명, 차드의 약 300만 명까지 포함하면 총 2,800만 명의 사람들이 심각한 식량난을 겪고 있다. 이들 중 90%는 카르툼(Khartoum), 게지라(Gezira), 코르도판(Kordofan), 다르푸르 등 인도주의 단체가 접근하기 어려운 분쟁의 중심지에 있다. 그 누구보다도 수단의 어린이들이 이 전쟁의 영향을 고스란히 느끼고 있다. 학교는 폐쇄되었고, 교사의 월급은 체납되었으며, 학교 예산마저 사라져 1,900만 명의 아이들은 아무런 교육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파괴된 미래의 결과는 세대에 걸쳐 드러날 것이다. 국제 사회는 재앙을 막기 위해 지금 행동해야 한다.

첫째, 수단에서 인도주의적 접근의 보장과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조직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는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지역 봉사 단체와 여성단체가 포함된다. 현재까지도 국경과 전선을 넘어 구호물자를 전달하기 위한 작전은 약탈과 같은 방해를 받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경 통로를 개방하여 모든 인도주의적 접근이 방해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나 구호 기관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다르푸르와 코르도판에 대한 접근성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둘째, 국제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약 1,500만 명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27억 달러가 필요하다는 수단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단 6%의 자금만이 확보되었다. 주변국에 있는 수단 난민과 귀향한 수단 국민을 돕기 위해서도 경제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남수단에서는 자금 부족으로 현재 300만 명이 굶주리고 있다. 차드에서는 지금 당장 긴급 재정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달 말120만 명의 난민들과 약 300만 명의 차드 국민은 그 어떤 배급도 받지 못할 것이다. 국제적인 지원과 보호가 절실히 필요한 이들을 대상으로 지원이 삭감될 경우, 그들은 극심한 고통에 시달릴 것이고 지역적 불안과 혼란은 가속화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단을 분열시키고 이웃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이 전쟁을 멈출 지속 가능한 정치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곧 개최될 파리 회담은 폭력 사태를 종식하고 기근을 방지하며 지역적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한 새로운 외교적 이니셔티브를 시작할 중요한 기회이다. 국제 사회는 이 중대한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수단 내전의 잔혹성과 그로 인한 대규모의 인도적 재난은 충격적인 수준이다. 특히 민간인에 대한 공격과 성폭력, 기아 문제는 수단이 매우 심각한 상황에 부닥쳐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난민 문제와 주변국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 안정성을 크게 위협하고 있기에 국제 사회의 조속한 개입이 필요하다. 제시된 해결책들은 매우 중요하지만, 이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전략이 부족하다. 인도주의적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조치가 필요한지, 자금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상세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국제 사회의 개입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뤄질 수 있는 국제적 협력과 지원의 한계에 대한 현실적인 고려가 부재하다. 국제 사회의 대응이 늦어지거나 불충분할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인 접근 방법도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또한 수단 차원의 자구적인 노력과 지역 단체들의 역할도 함께 강조할 필요가 있다. 국제 사회의 지원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출처:The crisis in Sudan necessitates urgent action”, Al Jazeera, Apr 14, 2024 (제목을 클릭하면 원문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기사날짜: 2024.4.14 (검색일: 2024.5.17)

-------------------------------------------------

김민주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