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36914411

작성일 : 14.03.17 | 조회수 : 508

제목 : 《3.14》[오피니언] 눈앞에 닥친 차이나 리스크 대응 전략 - 문화일보 기고 글쓴이 : paxsinica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오승렬/한국외국어대·국제지역대학원장·중국학

지난주부터 터져 나온 중국발 악재 몇 가지가 세계 증시를 흔들었다. 중국의 2월 수출이 지난해에 비해 18.1% 급감했고, 신에너지 산업으로 각광받아 왔던 태양광 패널 업체의 디폴트와 주식 거래 정지, 물가상승률 둔화 등의 소식이 겹치자 우리 증시와 환율도 직격탄을 맞았다. 국제 원자재 시장가격도 요동쳤다. 아니나 다를까, 중국경제에 대한 시장의 관측도 낙관론과 비관론이 엇갈리면서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 어떻게 봐야 할까.

우선, 2월 중국의 수출 둔화를 1월 말의 설 연휴와 지난해에 부풀렸던 통계 왜곡 탓으로 과소평가하는 일각의 시각은 중국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등한시한다. 세계 시장이 공급과잉에 처한 전반적 상황에 더해, 무엇보다도 중국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등한시해 왔던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의 이미지하락이 자초한 결과다. 2월 쇼크에서는 다소 회복된다 하더라도 당분간 중국의 수출이 과거처럼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은 작다.

중국 채권시장의 회사채 채무불이행 방치는 크게 우려할 게 없다. 그동안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에 기대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난립해 방만한 운영을 일삼았던 일부 기업에 대한 본보기식 처벌이며, 금융 개혁에 앞서 금융 상품 리스크에 대한 소비자의 경각심을 일깨우려는 조치다. 이는 외부 관찰자들이 우려해 온 중국 지방정부의 과잉투자로 인한 채무 누적과는 다른 문제다. 설사 지방정부 채무가 과다하다 해도 중국은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디폴트를 허용하지는 않을 것이며, 회사채 문제라 하더라도 연쇄 반응을 초래하진 않을 것이다.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 역시 눈앞에 닥친 위급한 상황은 아니다. 13일 폐막된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리커창 총리가 밝힌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 목표인 7.5%는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에 그치고 생산자물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오히려 중국 정부의 경각심을 자극해 경기부양 정책 강도를 높여나갈 가능성으로 읽힌다. 중국경제의 부진한 거시경제 지표는 오히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을 예측할 수 있는 선행지표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 정부는 아직 ‘보이는 손’을 가지고 있다.

중국 상황으로 인한 우리 증시 충격은 곧 회복될 것이고, 상황이 그리 절망적인 것도 아니지만 우리 경제에 대한 시사점은 정확히 짚어내고 대비해야 한다. 우선, 중국의 수출 둔화는 우리 기업의 중국 전략에 있어 심각한 고려 사항이다. 한국의 대중(對中) 수출액 중 70% 이상은 중국의 수출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원부자재다. 세계 시장의 중국 상품 포화 현상과 이미지 하락, 중국의 자국산 원부자재 사용 정책으로 인해 우리 기업의 대중 수출이나 중국 진출 기업의 수익성에 충격으로 와 닿을 수 있다. 그동안 중국의 수출을 뒷받침해 왔던 한국 기업은 세계 경제의 공급사슬에 있어서 중국 기업과의 품질 및 브랜드 차별화와 중국 내수 시장을 중심축으로 신속한 전략 변화를 도모할 때다. 특히 중소기업의 변신이 시급하다.

또한 한국은 중국 금융시장의 질적 변화와 대외 금융 전략 변화로 인한 리스크에도 대비해야 한다. 중국은 금리 자유화와 은행업을 민간에 개방하는 등의 금융개혁에 더해, 대외 금융투자와 위안화 국제화 전략을 더욱 공격적으로 구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국인 투자자 손끝에 특히 민감한 한국 금융시장의 속성으로 미뤄볼 때, 중국은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무기 삼아 환율과 금리 등 한국의 거시경제 변수를 흔들 수 있다. 우리 금융산업은 중국 금융시장 개혁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준비하되, 중국발 금융 충격에 대비한 조기경보 및 방어 시스템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NewsAdContentEnd>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