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180687878

작성일 : 24.01.09 | 조회수 : 63

제목 : EU, 이주 정책 전면 개편으로 망명 규정 강화 (2024.1.9)‎ 글쓴이 : 중동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유럽연합(EU)은 수년간 논의 끝에 망명 규정 개편안에 합의했다. EU는 이번에 합의한 새 이주∙망명 규정을 통해 이주민과 난민 수용 비용을 분담하고 EU로 유입되는 이주민 수를 제한할 것이다.

EU 의장국인 스페인이 2023년 12월 20일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각국 대표단과 의회(EP), ‎‎집행위원회, 이사회는 밤샘 협상 끝에 이주∙망명법(Pact on Migration and Asylum)의 정치적 핵심 ‎‎사안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난민 인권 단체 수십 곳에서는 이러한 합의가 성공적일 수 없는 ‘잔인한 체계’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EU 국경이 수용소나 다름없는 모습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개혁된 규정안은 불법 이주민에 대한 더욱 신속한 조사, 국경에 추방자 구금시설 설치, 망명 거부자의 신속한 추방, EU 남부 국가의 부담 완화를 위한 연대 메커니즘 마련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는 이번 합의로 유럽 망명법이 수십년 전 수준으로 후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합의된 규정이 ‘안전한 경로를 통한 이민’의 장벽을 더욱 높이기 위해 마련된 ‎‎만큼, 망명을 위해 EU로 향하는 사람들이 새 규정으로 인해 여정의 매 순간 더 큰 고통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본 것이다.

합의된 규정은 앞으로 27개국을 대표하는 EU이사회와 EP의 공식 승인을 거쳐야 한다. 승인 ‎‎절차가 끝나면 2024년 이내에 입법 절차가 완료될 가능성이 높다.

로베르타 메솔라(Roberta Metsola) EP 의장은 SNS 엑스(X) 상에서 “EU가 새로운 이주∙망명 규정에 ‎‎대한 기념비적인 합의에 도달했다.”라고 밝혔다.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주는 유럽 전체의 도전과제이다. 오늘의 결정을 통해 ‎‎우리가 함께 이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실패의 답습

EU로 유입된 이주민 수는 2015년 100만 이상으로 정점에 도달한 후 현재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0년 최저치를 기록한 후 다시 서서히 증가하여 작년 11월에는 255,000명에 달했다. 그중 절반 이상이 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나 몰타로 지중해를 건너 유럽에 도착하였다.

앞서 이주민과 난민 수용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려던 시도는 동유럽 국가에서 그리스, 이탈리아 ‎‎등으로 유입된 이주민을 수용하지 않고자 했기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다.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국경을 통한 이주민 직접 유입이 없는 국가는 선택에 따라 망명 신청자를 ‎‎수용하거나 EU 기금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신속한 검증 체계를 통해 거부 판정을 받는 망명 신청자는 본국이나 제3국으로 빠르게 송환될 ‎‎것이다.

인도, 튀니지, 튀르키예 출신 등 거부 확률이 높은 망명 신청자는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국경 구금시설에 구금하여 EU 진입을 예방할 수 있다.

국제앰네스티, 옥스팜(Oxfam), 카리타스(Caritas),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 등 이주민과 ‎‎난민을 보호하는 여러 구호단체에서는 공개서한을 작성하여 ‘합의된 규정이 과거 실패했던 접근법을 그대로 답습할 것이며, 이주민의 상황을 더욱 악화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56곳의 NGO 단체가 참여한 서한은 “현재 방식이 채택되면 아동과 가정을 포함하여 이주민을 ‎‎자의적으로 구금하는 행태가 정당화되고, 인종차별적 관행이 늘어나고, 사람들을 밀어내기 위해 ‎‎‎‘위기 시 조치’가 취해지고, 폭력과 고문, 자위적 구금에 노출된 ‘안전한 제3국’으로 사람들이 ‎‎송환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수용 및 명 체계를 약화할 것이 아니라 강화해야 하며, 유럽 국가 간 공정하게 책임을 분담할 ‎‎메커니즘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이번 합의로 EU가 이주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비회원국에 의존하는 상황이 더욱 굳어질 것이라 지적했다. EU 회원국은 최근 알바니아, 리비아, 튀니지, 튀르키예 등과 이주민 수용을 두고 협정을 맺었다. 이주민 수용 협정에 기반하여 EU는 이주민 문제와 관련해 비회원국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것이다.

덧붙여 앰네스티는 "EU 차원에서 (난민을) 수용하고, 안전하고 합법적인 경로를 ‎‎확장하여 위험한 길을 택하지 않고 유럽에서 보호받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국경통제를 외부에 ‎‎맡긴 채 난민 보호책임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밝혔다.

유럽은 10년 전 고령화, 노동인구 부족 등 인구문제 해결을 위해 이주민을 수용하기 시작했다. ‎‎시리아 난민을 시작으로 다양한 국적의 난민과 이주민이 유럽 문턱을 넘어섰다. 새로운 주민을 ‎‎환영하는 국가가 있는 한편,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국가도 있었다. 분쟁이 급증하고 난민 행렬이 ‎‎이어지자 인도주의적인 입장에서 난민을 지원하고 수용하자는 목소리도 덩달아 힘을 얻었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제사회 위기가 눈에 띄게 악화하자 유럽의 이주 정책이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EU나 유럽 대륙 차원에서 같은 노선을 보이던 이주 정책이 분열하기 시작한 ‎‎것이다. 난민 수용에 반기를 드는 국가는 더욱 강경하게, 이주민을 자국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국가는 더욱 포용적으로 변했다.

그러나 이주민이 아닌 난민 정책만은 분명한 공통점을 보인다. 망명의 장벽을 높이고 난민은 ‎‎국경을 넘지 못하도록 보다 더 강경한 대응책을 강구하는 것이다. 국가 차원에서 덴마크와 영국은 ‎‎난민 강제 송환과 망명 신청 자체를 제한하는 법률을 마련했다. 난민에 가장 관용적인 나라라는 ‎‎독일은 사실상 난민 직접 유입이 없어 체계화된 절차를 통해 원하는 ‘인력’만을 수용할 수 있다.

EU는 난민을 막기 위한 장벽을 쌓아 올리고 있다. 하지만 맞닿은 국경으로, 위태로운 난민선으로 ‎‎불법 이주는 계속될 것이다. 난민 인권 단체의 주장처럼 국경을 닫고 불법 난민을 막아도 사람들은 ‎‎모여들어 결국 국경 지대는 대형 수용소로, 해안 지대는 해상 공동묘지로 변모할 것이다. 효과 ‎‎없음이 증명된 과거의 실책이 반복되고 있다.

파도처럼 밀려오는 난민 행렬 앞에 EU의 장벽이 버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독일의 예를 보면 ‎‎난민 물결은 장벽이 아닌 방파제가 필요하다. 신속한 추방이 아니라, 이 인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여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정책을 EU 차원에서 추진한다면 이주가 ‎‎주는 여파를 감소시켜 안정적 수용을 통한 쌍생의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EU reaches agreement to overhaul migration system, tighten asylum rules”, Al Jazeera, Dec 20, 2023 (제목을 클릭하면 원문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기사날짜: 2023.12.20 (검색일: 2024.1.5)

-------------------------------------------------

정민경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