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 38649420

작성일 : 14.04.29 | 조회수 : 370

제목 : 바로크와 혼혈: 빈 공간에 대한 공포의 의미/ 박원복 글쓴이 : 중남미연구소
첨부파일 첨부파일: 06.바로크와 혼혈_빈 공간에 대한 공포의 의미.pdf

논문제목: 바로크와 혼혈: 빈 공간에 대한 공포의 의미

저자명: 박원복

학술지명: 중남미 연구

권호사항: 33-1(2014)

수록면: pp. 153~174


<국문초록>

 

본 논문은 바로크라는 용어의 기원, ‘빈 공간에 대한 공포’, 혼혈과 식인풍습 등 바로크의 핵심테마들 가운데 보다 깊은 성찰을 요하는 몇 가지를 선택, 분석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바로크를 인간정신의 상수라고 한 에우헤니오 도르스의 정의를 수용하면서 동 소재들에 내재하고 있는 이분법적인 유럽중심주의의 모순들을 파헤치고 있다. , 신세계 발견 이후 등장한 유럽의 바로크는 신세계를 마주한 그들이 애써 은폐하고 배제하면서 부정하려했던 타자와 자아의 모습을 발견한 자기성찰의 결과이다.

하지만 타자에 대한 유럽의 부정은 곧 유럽 자신의 이분법적인 사고에 의한 자기부정일 뿐만 아니라 신세계의 입장에서도 유럽과의 만남은 자아확인의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정체성이란 타자와의 비교에서 보다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17~18세기 라틴아메리카의 바로크 역시 동일한 인식론적 차원에서 그리고 문화횡단이라는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주제어 : 바로크, 혼혈, 식인풍습, 문화횡단, 서구중심주의

 

<영문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some of the issues considered central of Baroque, that we think deserve more attention and reflection. These are: the origin of the word baroque, horror vacui, miscegenation and anthropophagy, among others. Based on the definition of Eugenio d´Ors on the Baroque as "constant of the human spirit", this study continues his analysis, demonstrating the inherent contradictions in the Eurocentric-dichotomous thinking system. The European Baroque that emerged after the discovery of the New World is a result of self-reflection of the europeans in relation to the New World that they tried to delete, hide and deny it anyway.

We notice, however, that this European denial of the Other, which actually was also to deny himself due to its own dichotomous logic, works at the same time towards the New World, because the identity is an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I is revealed more clearly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In this sense, the Latin American Baroque of centuries 17-18 (as literary trend but not as a constant of the human spirit) should be understood also in the same epistemological dimension and in terms of transculture.

 

Key words:baroque, miscegenation, anthropophagy, transculture, eurocentrism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