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파견학생제도는 학생들이 8학기의 재학 기간 중 최소 한 학기는 외국 대학에서 수학하게 함으로써 재학생의 국제적 마인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한 제도입니다. 현재 연간 400명의 7+1 파견학생을 선발하여 해외 우수 대학에 파견하고 있으며 이 숫자는 점차적으로 증가될 예정이다.
국제교류팀에서는 영미권 대학에서 수학하고 싶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7+1 자유경쟁 파견학생을 모집한다. 학과 선발 파견학생 제도로는 영미권 대학에서 수학할 수 없는 언어권 학생들에게 영미권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국제교류팀에서 7+1 자유경쟁 파견학생으로 선발된 학생들 중 미국 하와이대학교로 파견되는 학생들은 성적에 따라 학기당
USD 1,250(2007학년도 봄학기 기준)의 장학금을 지급받으며 미국 아칸소 대학에 파견되는 학생들은 in-state fee로 유학
경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파견외국대학 상담 및 입학허가서 발급 절차는 국제교류팀에서 지원한다.
- 선발된 학생들은 외국 대학 등록금만 납부하고, 본교 등록금은 전액 장학금으로 지원받는다. 전액 장학생의 경우도 반드시
은행에서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한다.
- 성적 장학금 등 다른 장학금과 이중 수혜가 되지 않는다.
1) 지원자격
- 1학년(2개 학기) 이상을 수료한 학생에 한하여 지원 가능하다.
(단, 편입생은 1개 학기 이상 수료자도 지원 가능)
- 많은 학생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에 교환/파견학생 제도를 이용한 학생은 다시 지원할 수 없다.
- 학점 3.0, CBT 230(IBT 89, IELTS 6.5)이상 소지자에 한해 지원 가능하다.
2) 선발 절차
- 매년 2~3월, 8~9월에 선발한다.
- 토플점수와 학점을 1 대 1로 합산하여 선발한다.
- 연간 20~30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대학교
기간
선발 시기
선발 인원
비고
하와이대(힐로)
6개월
3, 9월
0명
학기당 USD 1,250 장학금지급
(07년 1학기 기준)
아칸소대
6개월
3, 9월
0명
in-state fee 적용
뉴욕주립대
(알버니)
6개월
3, 9월
0명
샌디에고주립대
6개월
3, 9월
0명
네브라스카대
(오마하)
6개월
3, 9월
0명
캘리포니아주립대
(샌버나디노)
6개월
3, 9월
0명
7+1 학과 선발 파견제도는 본교 국제교류 프로그램에서 소외되는 학과가 없도록 하기 위해 파견학생 T/O를 학과별로 배정하여 전체 학과 학생이 고르게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이다.
한 학기 최대 18학점까지 인정 가능하다. 단, 어학연수학점으로는 최대 12학점까지만 인정 가능하다. 해당학기 등록금은 장학금으로 지원받는다. 다만, 전액 장학생의 경우라도 반드시 은행에서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한다.
▷ 지원 시 학점평점평균이 3.0 이상인 학생
▷ 1학년(2개 학기) 이상을 수료한 학생
(파견학기가 마지막 학기인 학생은 지원 불가능)
편입생의 경우 1개 학기 이상을 수료한 학생
▷ 과거 교환, 파견, 자비유학 제도를 통해 2개 학기를 해외에서 수학 후 이를 본교 학점으로 인정 받은 학생은 지원 불가
▷ 학칙에 의거 징계받은 사실이 없는 학생
▷ 기타 학과별 소정의 선발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 학생(학과별 문의 요망)
소속학과에서 선발하므로 선발시기 및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보통 3월, 9월에 선발한다. 자세한 선발시기는 학과 게시판을 참조하거나 학과사무실에 문의하기 바란다. 7+1 학과선발 파견학생은 학생이 직접 입학지원서 작성 및 입학허가서 수령 혹은 학과 사무실과 상의하여 입학허가서를 개별적으로 수령해야 한다.
7+1 파견학생 우수입학자 제도는 본교에서 2007학년 입학자부터 입학 성적 상위 10%에 해당하는 입학자들에게 7+1파견학생 자격을 부여하며, 1학년 1, 2학기 성적평점이 3.8(2007학번), 3.5(2008학번 이상)이상이 되면 파견학생 자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선발과정 없이 파견학생으로 해외대학교에 수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이다. 선발 과정은 없으나 특징, 자격요건 및 입학허가서 수령은 학과선발과 동일하다.
- 학점인정신청서 작성 후 학과장 승인을 받고 성적표 원본과 함께 해당 캠퍼스 학사종합지원센터로 신청서를 제출한다.
- 제 1 전공과 자선은 학생의 소속 학과장님께, 제 2 전공/부전공은 제 2 전공/부전공 학과장님께, 교양은 교양 과정 학부장 혹은
주임교수님께 승인을 받는다.
- 국제교류팀 홈페이지에서 귀국보고서를 작성한다.
- 외국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은 본교 장학금 산정대상에서 제외된다.
교환학생제도란 본교와 해외 자매대학교가 학생 및 학점교환에 관한 상호협정을 맺은 후, 그 협정내용에 따라 본교 학생과 자매대학 학생을 일정 기간 동안 교환하여 상대 대학교에서 수학하게 한 후 그 기간 동안의 취득학점을 학생의 소속 대학교에서 인정하는 제도이다.
파견 기간 동안 등록금을 본교에만 납부하고 상대 대학교에서 면제를 받으므로 상대적으로 본교보다 등록금이 높은 대학에
서 수학할 경우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파견대학에 따라 기숙사비 면제나 보조금 지급 등의 혜택이 주어지기도 하므로 유학 경비가 절감된다.
파견대학의 등록과 관련하여 국제교류팀에서 입학허가서 취득을 지원하므로 외국대학 입학허가서를 받는 것이 용이하다.
▶ 영어권 프로그램 ◀
(국가) 대학교
기 간
선발시기
지 원 자 격
선발인원
(싱가폴)
싱가폴 경영 대학교
6개월
8월
- IBT 90 이상, IELTS 6.5 이상
- 상경계열 전공/부전공자
- 영어로 학부 수업 가능한 자
2명
(미국)
샌디에고 주립 대학교
6개월
8월
- 기관토플 570, IBT 89, IELTS 6.5 이상
- 영어로 학부 수업 가능한 자
1~3명
(미국)
템플대학교
6개월
2, 8월
- IBT 90 이상, IELTS 6.5 이상
- 영어로 학부 수업 가능한 자
2명
(캐나다)
메디슨햇 대학교
6개월
2월
- 기관토플 550, IBT 80, IELTS 6.5 이상
- 영어로 학부 수업 가능한 자
1명
(미국)
센트럴 미주리 대학교
6개월
2월
- 기관토플 550, IBT 80, IELTS 6.5 이상
- 영어로 학부 수업 가능한 자
2명
(※ 영미권 이외의 교환학생 제도에 대해서는국제교류팀 홈페이지를 참조바람)
- 교환학생 기간 종료 후 파견대학의 성적표 원본을 지참하여 학사종합지원센터에 찾아간다.
- 학점인정신청서 작성 후 학과장 승인을 받고 성적표 원본과 함께 신청서를 학사종합지원센터에 제출한다.
- 제 1 전공과 자선은 학생의 소속 학과장님께, 제 2 전공/부전공은 제 2 전공/부전공 학과장님께, 교양은 교양과정 주임교수님께
승인을 받는다.
- 국제교류팀 홈페이지에서 귀국보고서를 작성한다.
- 외국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은 본교 장학금 산정대상에서 제외된다.
UEA-HUFS 교류 제도는 외대 영문학과와 영국의 ‘University of East Anglia’의 영문과(LIT)가 협정을 맺어 학생들에게 좀 더 심화된 영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이며, 영어학과, 영문학과, 영어통번역학과의 학생은 지원이 가능하다.
- 영어대학 홈페이지에 공지
- 공지시기: 각 해 1학기
- 선발기준: ①교내성적 3.0 이상
②공인영어성적 IELTS 6.5, TOEFL (IBT 80), TOEIC 750 이상
- 제출서류: 신청서(별도 참조), 성적증명서, 공인영어성적 증명서
- 신청서 받은 후, 인터뷰 진행
[LIT (School of Literature and Creative Writing)]
- 1년 프로그램, Semester 제 (Autumn Semester: 9월 ~ 12월, Spring Semester: 1월 ~ 4월)
- 높은 언어수준을 요구하나 한국학생들이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INTO에서 한 학기 동안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제공
- 한 주간Orientation: 이 기간에 수강신청을 함. 별도 참조.
- 기숙사 제공 (별도 참조)
- 영어 어학 코스인 INTO와 문학 전공 코스인 LIT 소속으로 구분된다.
(예시)
A: 1학기 INTO 소속, 2학기 LIT 소속, B: 1, 2학기 LIT 소속
A: 1학기 수업
– 오전) INTO Language Course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오후) LIT에서 운영되는 Literature and History I 수업과 비슷하게 구성된 특별 세미나 (1주일 3시간 정도)
2학기 수업 – Literature and History II Concepts in Literary Theory
B: 1학기 수업
- Literature and History I 2학기 수업
- Literature and History II Concepts in Literary Theory
- INTO의 1 unit은 4학점, LIT의 1 unit은 6학점
- 학점 전환 기준 (별도 참조)에 따라 성적이 결정된다.
- Language Course 수업은 모두 전공 학점으로 인정된다
- 첫 학기는 양국의 학교에 모두 돈을 지불한다.
-> 7+1 프로그램을 통해 신청한 학생들은 장학금으로 돌려 받을 수 있다.
- 두 번째 학기는 양국의 학교 모두에 지불한다. * 등록금은 각 국의 등록금 인상 변화에 따라 해마다 변동한다.
예시> 2008년의 경우, INTO 2400 파운드, LIT 4400 파운드
* 추가 수업료를 내지 않고 한 학기에 Lit 과목은 2개까지 수강 가능하다.
* 2학기에 Lit 과목을 3개 이상 청강 시 한 unit 당 600파운드의 추가 비용이 든다.
복수학위제도란 본교와 미국 델라웨어 대학교와의 상호협정에 따라 본교에서 2년,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2년을 수학한 뒤 각
대학에서 학위를 받는 프로그램이다
복수학위 수학기간 동안 취득한 학점은 학과장 승인 후 본교 졸업학점에 포함되므로 재학 기간 내 두 개의 학위를 수여 받을
수 있다.
본교와 델라웨어 대학에서 각기 다른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각 전공별로 졸업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함).
미국 델라웨어 대학과 본교의 동시졸업이 가능하므로 프로그램 종료 후 본국으로 돌아와야 하는 타 프로그램 참가 학생에
비하여 현지 취업이 용이하다.
델라웨어 대학교의 수업료의 20%는 델라웨어 대학교 측으로부터 장학금으로 지급받는다.
성적에 따라 델라웨어대 등록금이나 본교 등록금을 장학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최대 10학기 학생까지만 지원 가능함).
졸업에 필요한 실용외국어학점을 모두 취득한 자
※ 필수 과목을 출국 전에 이수할 수 있어야 함
선발 시기 - 매년 3월, 9월
선발 인원(매 학기 5명)
- 일반: 매 학기 2명(외대 등록금 면제, 델라웨어대 등록금 납부)
- 자비: 매 학기 3명(외대, 델라웨어대 모두 등록금 납부)
※ 선발 당시 부과된 장학금 수혜 자격은 델라웨어 수학 첫 학기에만 해당되며 그 다음 학기부터는 델라웨어대 성적을
적용하여 재 산정함.
선발 방법 - 학교 성적과 토플 성적을 1대 1로 합산
구분
수혜인원
본교
델라웨어대
일반장학생
12명
면제
납부
자비
잔여인원
납부
납부
※ 장학금은 직전학기 델라웨어 대학교 성적을 기준으로 그 다음 학기에 지급함.
※ 장학금 지급을 위해 반드시 델라웨어 SIS+ id와 password를 본교 국제교류팀에 통보해야 함
※ 장학금 지급내역은 현재 내역으로 사전 통보 없이 변경 가능함
본교와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복수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본교와 델라웨어 대학교의 졸업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각 대학교의 졸업학점과 필수이수과목 등을 졸업 학기 전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이수한 과목을 본교에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본교 학과장의 승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델라웨어 대학교 수강 신청 시 반드시 본교 학과장이 승인한 과목을 수강해야 한다.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모든 과목을 이수한 후에는 본교 학사종합지원센터에서 학점인정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 절차는
본교 졸업사정위원회(1월, 7월 중순) 개최 전에 마무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델라웨어 대학교 졸업 후 성적표가 발급되자마자
본교에 돌아와서 학점인정절차를 거쳐야 한다. 기간 내 제출하지 못할 경우 외대 졸업 학기가 한 학기 미루어질 수도 있다.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이수한 과목은 실용외국어나 전공필수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졸업에 필요한 필수과목은 외대 재학기간
중 모두 이수해야한다.
외교통상부 해외 인턴십은 뛰어난 언어능력과 국제적 감각을 갖춘 우수한 대학생(학부 및 대학원생)을 선발하여 6개월간 주요 재외공관에 인턴으로 파견하는 프로그램으로, 선발된 학생들은 재외공관에서 외교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동 인턴십 프로그램은 지난 2007년 본교와 외교통상부간의 협정에 의거 최초 시행된 바 있으며, 2009년부터 선발대상이 전국의 모든 대학교로 확대되었다.
: 학기 당 00명
※ 외교통상부의 수요조사결과에 따라 매 학기 파견인원이 변동되며, 2009학년도 2학기의 경우 본교생 32명을 포함, 총 80명의 학생들이 최종 선발된 바 있다.
- 외교통상부 해외 인턴십 선발 공고 (http://www.mofat.go.kr)
(선발은 외교통상부에서 직접 주관하고 있으므로, 관심 있는 학생들은 수시로 확인 바람)
- 인턴 희망자는 제출서류 구비하여, 해당 공관에 이메일로 직접 참가 신청
- 해당 재외공관의 1차 심사: 언어능력, 전문성, 창의성 평가
- 외교통상부 본부 선발심사위원회에서 2차 심사 후, 최종 선발 (별도 구술 시험 실시)
- 최종 학력 전 학년 성적이 B + 이상인 자
- 재외공관 주재 언어 구사 가능자 (공관별 언어 요건 선발 공지 시 별도 안내)
※ 공인 외국어 성적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특수어의 경우는 예외)
- 대학 졸업자 혹은 휴학 중인 학생도 지원 가능
- 신청서(외교통상부 소정양식)
- 자기소개서(3 page 이내)
- 인턴십 계획서(2 page 이내)
※ 외교통상부 또는 재외공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주요업무를 파악한 후, 재외공관 언어 요건별 외국어로 작성 요망
(언어요건이 복수 외국어로 구성된 공관 신청자는 우선순위 외국어로 작성)
- 보호자 동의서(소정 양식)
- 학장(또는 학과장) 추천서(소정 양식)
- 최종학력 전 학년 성적증명서
- 학위증, 자격증 사본(해당자)
- 외국어 검정 성적표(최근 3년 이내 성적표에 한함)
※ 주요 외국어 검정 성적 하한선(특수어 제외)
ㆍ영어: TEPS(770), TOEFL(CBT: 250, IBT: 100), TOEIC(860) 이상
ㆍ중국어: 한어수평고시(HSK) 8급 이상
ㆍ일본어: 일본어능력시험 1급시험 320점 이상
ㆍ프랑스어: DELF B2 등급 이상
ㆍ스페인어: DELE 중급 65점 이상
ㆍ러시아어: 러시아어 토르플 1단계 이상
ㆍ독일어: 괴테어학원 평가 C1 등급 이상
: 2학기 파견대상자 (6~7월), 1학기 파견대상자(11~12월)
왕복항공료 및 일정액의 임차료와 교통비(월 100만원 수준)를 지원 예정(체류지 생활비는 인턴 본인 부담 원칙이며, 일부 고물가 지역에 대해서는 자기 부담 분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음)
※ 외교통상부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지원자 중 아래의 요건을 갖춘 학생
- 본교 학생으로 학부생의 경우 파견학기가 마지막 학기가 아닌 자
- 평점 평균이 3.0 이상인 자
- 교환 혹은 파견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2개 학기 이상 학점을 인정받은 사실이 없는 자(학부)
- 학칙에 의거 징계받은 사실이 없는 자
- 해외 인턴십에 따른 파견학기 학점 인정 동의를 득한 자
※ 인턴십 학점인정동의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함 (관련 학과장 서명이 반드시 있어야 함)
- 파견학기 등록 예정인 자
1) 파견 전
- 인턴십 학점 인정동의서 다운로드 후 작성
- 해당 학과장(전공, 제2전공 등)과 면담 후 확인 서명 취득
- 학점인정요청서 제출 (서울캠퍼스 - 국제교류팀, 용인캠퍼스 - 학사종합지원센터 국제교류담당)
2) 파견 후
- 외교통상부 해외인턴 근무 평정표 접수(외교통상부 -> 본교(국제교류팀) -> 학생)
- 귀국보고서 작성 및 업로드 (국제교류팀 웹사이트)
- 각 캠퍼스 학사종합지원센터 학점인정요청서 작성, 학과장 결재 후 평정표와 함께 제출
- 학부: 학기당 최대 12학점
- 일반대학원: 학기당 최대 6학점
- 통역번역대학원: 학기당 최대 8학점
- 국제지역대학원: 학기당 최대 9학점
KOTRA 해외무역관 인턴십은 뛰어난 언어 능력과 실력 및 품성을 갖춘 본교 학생을 선발하여 KOTRA 해외 무역관 인턴으로 파견함으로써, 현지 실무경험을 쌓고 국제적 안목과 전문가적인 소양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동시에 본교 정규학기 학점으로 최대 12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KOTRA 해외무역관 인턴십은 뛰어난 언어 능력과 실력 및 품성을 갖춘 본교 학생을 선발하여 KOTRA 해외 무역관 인턴으로 파견함으로써, 현지 실무경험을 쌓고 국제적 안목과 전문가적인 소양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동시에 본교 정규학기 학점으로 최대 12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 학기 당 45명
※ KOTRA 수요조사결과에 따라 매 학기 파견인원이 다소 변동될 수 있다.
- 본교 학생으로 학부생 2학년 2학기 이상 재학중인 자
※ 2학년 2학기 이상 마치고 휴학중인 자도 지원가능.
복수전공예정자의 경우 마지막 학기 인턴파견불가.
- 평점 평균이 3.0 이상인 자
- 파견해당국가의 언어능력이 뛰어난 자 (영어 및 상경계열 지식 보유자 우대)
- 교환 혹은 파견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2개 학기 이상 학점을 인정받은 사실이 없는 자
- 학칙에 의거 징계받은 사실이 없는 자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으며, 비밀취급인가에 필요한 신원진술 상 문제가 없는 자
선발언어
선발인원
국가
파견무역관
불어
1
모로코
카사블랑카
1
벨기에
브뤼셀
독일어
1
스위스
취리히
1
독일
뮌헨
스페인어
2
스페인
마드리드
1
멕시코
멕시코시티
1
파나마
파나마시티
1
콜롬비아
보고타
2
페루
리마
2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이태리어
1
이태리
밀라노
폴란드어
1
폴란드
바르샤바
불가리아어
1
불가리아
소피아
루마니아어
1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크로아 티아어
1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스칸디나비아어
1
스웨덴
스톡홀름
1
핀란드
헬싱키
러시아어
1
러시아
모스크바
1
노보시비리스크
1
카자흐스탄
알마티
1
우크라이나
키예프
우즈벡어
1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중국어
1
중국
칭다오
1
다롄
1
우한
1
홍콩
태국어
1
태국
방콕
터키어
1
이스탄불
이스탄불
베트남어
1
베트남
하노이
아랍어
1
이집트
카이로
이란어
1
이란
테헤란
마인어
1
콸라룸푸르
말레이시아
영어
1
콸라룸푸르
말레이시아
1
밴쿠버
캐나다
1
오클랜드
뉴질랜드
1
마닐라
필리핀
1
싱가포르
싱가포르
1
미국
워싱턴
2
실리콘밸리
2
LA
합 계
45
6개월
2학기 파견대상자 (5~6월), 1학기 파견대상자(11~12월)
1) 교내 KOTRA 인턴 파견 선발 공고: 국제교류팀
2) 서류접수, 시험 및 선발인원 확정: 국제교류팀 및 해당 학과
3) KOTRA 최종 인원 통보 및 출국 준비 지원 협조 요청: 국제교류팀
1) 최종 선발 인원 각 무역관 통보 및 체재 관련 협조 요청(국제교류팀)
2) VISA 취득 및 사전 교육 실시(국제교류팀)
3) 기타 안내사항 통보(국제교류팀/KOTRA)
가. 6개월 이상 근무 시 정규 학점으로 인정
1) 학부: 학기당 최대 12학점
2) 일반대학원: 학기당 최대 6학점
3) 통역번역대학원: 학기당 최대 8학점
4) 국제지역대학원: 학기당 최대 9학점
5) 경영대학원(주간): 학기당 최대 9학점
나. 인턴으로 선발된 학생들은 반드시 파견 학기에 본교 등록금을 납부해야 함
다. 지원금
1) 본교: 인턴 지원금 300만원 일시불로 지급
2) KOTRA: 현지에서 매달 $300씩 6개월간 총 $1,800 지급
※ 지원액은 학기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음.
정부초청 장학 프로그램이란 우리 정부와 외국정부 간에 문화협정 또는 교육교류시행 약정서 등에 의한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장학생을 초청하는 프로그램이며, 장학생 수와 수혜내용 등은 초청하는 국가가 결정한다.
프로그램 별로 지원자격, 선발시기 및 절차가 다르니 주관기관인 국제교육진흥원 홈페이지를 참조하기 바란다. 자격에 부합하는 재학생 및 졸업생(최종 출신대학 기준)은 지원서 및 관련 서류를 준비하여 국제교류과로 제출하면, 국제교류과에서 일괄적으로 지원서를 취합하여 추천 절차를 거친 후 주관기관인 국제교육진흥원으로 송부한다. (국제교육진흥원 홈페이지:http://ied.go.kr)
◎ 그리스 정부초청 장학생.
◎ 그리스 IKY 초청 장학생.
◎ 대만 정부초청 어학연수생.
◎ 대만 정부초청 장학생.
◎ 러시아 정부초청 장학생.
◎ 루마니아 정부초청 장학생.
◎ 멕시코 정부초청 장학생.
◎ 스위스 정부초청 장학생.
◎ 슬로바키아 정부초청 장학생.
◎ 이스라엘 정부초청 장학생.
◎ 이집트 국제농업센터 (EICA) 초청 장학생.
◎ 이집트 알아자르재단 장학생.
◎ 이집트 정부초청 어학연수생.
◎ 이탈리아 정부초청 장학생.
◎ 인도네시아 정부초청 예술문화연수생.
◎ 인도네시아 정부초청 장학생.
◎ 일본 문부성 초청 연구장학생.
◎ 중국 정부초청 장학생.
◎ 체크 정부초청 장학생.
◎ 캐나다 정부 초청 장학생.
◎ 쿠웨이트대학 아랍어연수생.
◎ 핀란드 정부초청 장학생.
◎ 뉴질랜드 정부초청 학부장학생.
◎ 뉴질랜드 정부 초청 박사과정 장학생.
◎ 독일 DAAD 장학생.
◎ 호주 정부 초청 장학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