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수체계

정보통신공학과 교과과정 이수체계

 

               

           

            ■   과목간 연결선은 선후수 관계를 나타냅니다.
 
          ■   참고: 선수과목 (뒤의 과목을 수강하기 위해 선수강이 요구되는 과목)
                
                 1. 컴퓨터프로그래밍및실습 → 자료구조
                 2. 시스템프로그래밍 → 인터넷응용
                 3. 신호및시스템 → 통신공학
                 4. 신호및시스템 → 이산신호처리 → 머신러닝
                 5.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6. 정보통신기초종합설계 → 정보통신종합설계및실습

    

          ■   교과과정 변경 내용
                
                 1. 통신시스템프로그래밍및실습(3학점/4시간) → 시스템프로그래밍(3학점/3시간): 과목명 및 시간 변경
                 2. 논리회로및실험(1학년 1학기) → 논리회로및실험(1학년 2학기): 학기 이동
                 3. 컴퓨터개론및실습(전공, 3학점/4시간) → 컴퓨터프로그래밍(교양필수, 3학점/3시간): 과목명, 시간, 교양
                 4. 컴퓨팅사고(교양필수, 3학점/3시간): 과목 신설

 

          ■  2020학번 이후

                1. <컴퓨터프로그래밍및실습(3학점/4시간)>을 공대 개설과목으로 수강해야 합니다. 1학기에 교양과목으로 수강했던 <컴퓨터프로                      그래밍>과 과목명이 유사하지만 학습 내용이 다르니 반드시 수강하기 바랍니다.

                2. 교양 소프트웨어기초 영역의 <컴퓨터프로그래밍> <컴퓨팅사고> 2학기에는 공대생 수강 불가입니다. 재수강은 다음 학년                       1학기에 해야 합니다.

          ■  2019학번 이전

                1. <컴퓨터통신개론>은 교과과정에서 폐지되었습니다. 폐지된 교과목은 계절학기에도 개설되지 않으며, 재수강이 필요한 학생은                        다른 전공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통신>은 기존 <디지털통신및실습> 3학점/4시간에서 3학점/3시간으로 변경되어 과목명이 바뀌었습니다. 두 과목은                            동일 과목으로 처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