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학사 l 연계전공
연계전공이란
■ 2개 이상의 학과(학부)가 연계하여 전공을 개설하고 이를 이수하는 제도로, 이중전공(제2전공)으로 이수.
■ 2학년부터 시작, 이수신청은 이중전공 신청기간 중에 함. (단, BRICs연계전공은 별도 선발)
■ 1전공 및 연계전공의 졸업조건이 모두 충족되었을 경우에 제1전공과 연계전공이 병행표기된 학위를 수여함.
■ 연계전공을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없음
BRICs연계전공
■ BRICs지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개설된 전공
■ 이수자격 : BRICs Fellowship 파견 희망지역의 언어가 가능한 자로 평점평균 3.00 이상인 자
■ BRICs Fellowship 운영 : 해당 지역 자매대학에서 1개 학기 수강 (별도 선발)
■ 1전공 학과에 따라 상경트랙과 언어트랙으로 이수.
EU(유럽연합)연계전공
■ EU관련 언어학과가 연계하여 개설한 전공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와 지역에 관한 전공
■ 유럽연합 23개 공식언어에 포함되는 언어관련 학과 과목과 EU연계전공 개설 과목을 이수
동북아연계전공
■ 중국학부와 일본학부(중국어통번역학과와 일본어통번역학과)가 개설한 전공으로, 동북아지역 내 환경에 관한 실용적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을 위하여 개설.
■ 중국어와 일본어 중 택1하여 언어관련 소정의 학점을 이수하고 동북아연계전공 개설 과목을 이수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 철학과, 사학과 및 어문학계열 학과가 연계하여 개설한 전공으로 문화의 시대를 넘어 문화콘텐츠 개발의 시대를 맞은 21세기 성장산업의 하나인 문화산업 분야에 진출할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해 개설되었으며, 문화(현상)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문화콘텐츠 기획 플래너 양성이 첫 번째 목표로 인문학과 콘텐츠의 결합에 교육의 중심을 두고 있음
■ 커리큘럼:문화컨텐츠 이론과 분석영역, 창작 및 영상문화영역, 문화비평과 미디어문화 교육콘텐츠 개발 영역, 문화정보 및 문화산업 영역
■ 인접학문 분야:인문학(어문학·사학·철학), 예술학(디자인 등), 공학(IT·T 등), 사회과학(경영·법률)
■ 발전 가능성 및 진로:한국의 전통문화를 디지털 콘텐츠화하는 문화원형사업 기획자 / 한국문화 및 세계 각 지역문화 담당 전문 PD / 기업의문화 마케팅 전문가 / 문화 관련 정부 부서 및 지방정부의 문화(축제) 행사 담당 공무원 등
![]() | 1703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정보통신공학과 TEL. 031-330-4255 | Email. ice@hufs.ac.kr Copyright 2019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