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학과소개

<br>

과소개

고전어문·문화학과(Department of Classical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는 고전 언어와 문학, 문화를 중심으로, 고전학이 지닌 가치를 교육하고 탐구합니다. 고전은 인류가 남긴 최대의 유산이자 시공을 초월하여 애호되며 인문학의 근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본 학과는 고전을 당대의 맥락으로 이해하고, 현재의 관점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고전과 그것이 태동된 지역의 현대 언어와 문화적 맥락을 지역학적으로 접근하여 고전이 지닌 가능성을 인문학으로 확장시키고자 합니다.

본 학과는 동서 고전의 근간을 이루는 고대 그리스의 헬레니즘(Hellenism) 전통과 로마문명, 그리스도교(Christianity), 유대교(Judaism), 힌두교(Hinduism), 불교(Buddhism), 인도 철학과 사상(Indian Philosophy)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가 되는 해당 언어와 문학 및 고대의 문화와 관련하여 [그리스·라틴어문·문화학전공]과 [산스크리트어문·문화학전공]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고전학이란 무엇인가?

2018년도에 BBC에서 “세계를 만든 100개의 이야기 (The 100 Stories That Shapes World, BBC, 2018년 5월 2일)”를 선정하였는데, 그 중에서 고전그리스어 작품이 8편, 라틴어 작품이 1편, 산스크리트어 작품이 3편이 포함되었습니다. 순위에서 제외한 성서를 비롯하여 고전 작품의 영향을 받은 후대의 산물까지도 고려한다면 고전의 인문학적 가치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큽니다. 인류의 가치가 오롯이 남겨진 고전을 연구하는 것은 인간 근원에 대한 탐구와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입니다.

전통적으로 고전학(Classics)의 근간이 인정받는 헬레니즘(Hellenism)은 고대 그리스문명을 수용한 로마 제국에 의하여 유럽으로 확산되어 고전그리스어(희랍어)와 라틴어로 작성된 많은 고전을 남겼습니다. 그리스도교의 근간이 되는 구약 성서는 히브리어로 작성되었고, 서기전 3세기경에 고전 그리스어로 번역되어 유럽에 알려졌습니다. 후에 신약 성서도 그리스어로 작성되었고, 로마제국(이후에는 비잔티온 제국)을 통하여 유럽과 이슬람 문화권으로 확산되었기에 고전 그리스어는 그리스도교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언어입니다.

그리스 문화를 수용한 로마 제국이 남긴 많은 라틴어 문헌을 비롯하여, 그리스도교와 관련하여서는 신학과 종교 철학의 영역에서 기록된 중요한 문헌들 역시 라틴어로 작성되었습니다. 유럽의 각국에서는 근대까지도 지식인과 학자들이 라틴어를 사용하였기에 라틴어는 서양 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학문 언어라 할 수 있습니다.

인도의 고전 사상과 문화는 불교를 통해 중국, 한국, 일본, 태국 등 아시아 주요국가의 정신문화의 중요 토대가 되었으며, 불교를 비롯한 인도의 고전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스크리트어가 필수적인 언어입니다.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이자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주요 종교의 기원지인 인도는 세계적 문화유산의 보고(寶庫)입니다. 인도의 사상과 문화는 힌두교와 불교의 확산 및 문학, 문자, 건축, 예술, 사회체제 등의 전파를 통해 주변 동남∙남아시아 문화의 토대를 이루었으며, 나아가 중국, 한국, 일본에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고대 인도의 최고(最古)의 성전(聖典)인 베다문헌을 비롯한 종교서, 풍부한 전통을 자랑하는 문학은 물론 문법, 법학, 경제, 미술, 음악, 천문학, 수학, 의학 등의 문헌이 산스크리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의 고전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언어입니다.

한국형 고전학을 위한 도전

유럽과 북미의 대학에 개설된 고전학과는 고대그리스(서기전 8세기경)부터 고대후기(서기 6-7세기경)의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을 중심으로 학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편, 한국과 아시아문화권에서는 그리스로마 고전이 비잔티온제국 및 중세유럽의 르네상스시대에 영향을 미친 이후인 ‘근대’에 이르러서야 서구문명을 수용하였기에, ‘한국-아시아를 위한 고전학’의 시기적·지리적 범주는 서구의 학제와 동일해서는 안 됩니다.

무엇보다도 서양의 고전학은 수많은 지리적 확장 및 오랜 시기적 변용 과정을 거친 뒤에야 비로소 한국에 수용될 수 있었기에, 본 학과에서는 고전학의 범주를 지리적으로는 인도-유럽의 언어와 문화권으로 확장하고, 시기적으로도 선사에서 근대 이전까지 확장하여 한국의 학문적 상황에 맞게 적용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외국을 통하여 고전을 수용하기보다, 고전이 태동한 현지(그리스, 이탈리아, 이스라엘, 인도 등) 의 현지의 언어, 문화적 맥락에서 이어지는 전통을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둠으로써, 고전을 언어와 문학의 범주를 넘어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