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번호 | 구분 | 교 과 목 명 | 영 문 명 |
---|---|---|---|
G41502 |
M | 정책이론 | Public Policy Theory |
G41503 |
M | 조사방법론 | Research Methods |
G41746 | M | 조사방법론세미나 | Seminar in research methods |
G41501 |
M | 행정이론 |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
G41747 | M | 행정통계분석I |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Public Administration |
G41510 |
M | 행정학방법론 | Methodologies of Public Administration |
코드번호 | 구분 | 교 과 목 명 | 영 문 명 |
---|---|---|---|
G41605 |
M | 관료제론 | Theory of Public Bureaucracy |
G41603 | M | 인사행정 |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
G41604 |
M | 재무행정 | Public Financial Administration |
G41602 | M | 행정관리론 | Public Management |
G41206 | M | 행정문제세미나 | Topics in Public Administration |
G41205 | M | 행정사세미나 | Seminar in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
G41701 |
M | 행정이론세미나 | Seminar on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
G41601 | M | 행정조직론 | Organization Theory |
G41743 | M | 행정철학 | Administrative Philosophy |
G41117 | M | 행정철학세미나 | Seminar in Administrative Philosophy |
G41606 |
M | 행정통제론 | Administrative Control |
G41607 | M | 행정학특강 | Special Lectures for Public Administration |
코드번호 | 구분 | 교 과 목 명 | 영 문 명 |
---|---|---|---|
G41301 |
M | 도시정책및행정 | Urban Policy and Administration |
G41748 | M | 비교정책 | Comparative Public Adminstration |
G41707 | M | 비교정책세미나 | Seminar in Comparative Public Policy |
G41710 |
M | 과학기술정책론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G41610 | M | 정부규제론 | Government Regulation |
G41742 | M | 정부기업관계론 | Relationship of government and business |
G41111 | M | 정책문제세미나 | Topics in Public Policy |
G41207 | M | 정책분석 | Public Policy Analysis |
G41740 | M | 정책분석세미나 | Seminar in public policy analysis |
G41302 |
M | 정책분석․평가세미나 | Seminor in Public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
G41737 | M | 정책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Public Policy |
G41109 | M | 정책이론세미나 | Seminar in Public Policy Studies |
G41609 | M | 정책평가 | Public Policy / Program Evaluation |
G41741 | M | 정책평가세미나 | Seminar in Public policy evaluation |
G41614 | M | 정책학특강 | Special Lectures in Public Policy |
G41612 |
M | 지방정책및행정 | Local Policy and Administration |
코드번호 | 구분 | 교 과 목 명 | 영 문 명 |
---|---|---|---|
G41619 |
M | 국제행정 | International Administration |
G41617 | M | 발전정책및행정 | Develop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
G41623 |
M | 발전행정세미나 | Seminar in Development Administration |
G41616 | M | 비교공무원제도론 | Comparative Civil Service System |
G41622 | M | 비교정부론 | Comparative Government |
G41615 | M | 비교행정 | 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 |
G41624 |
M | 비교행정문제세미나 | Topics in Comparative Administration |
G41709 | M | 비교행정세미나 | Seminar in Comparative Public Administation |
G41621 | M | 비교행정특강 | Special Lecture in 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 |
G41618 | M | 한국정부론 | Korean Government |
G41625 |
M | 한국정부론세미나 | Seminar in Korea Government |
G41620 | M | 행정문화 | Administrative Culture |
<공통과목>
정책이론 (Public Policy Theory)
본 강좌는 정책학의 주요 구성요소에 관한 여러 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책학의 발전배경 및 정책과정을
중심으로 한 정책체계의 각 요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s)
행정학 연구와 관련되는 방법론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수업의 주목적이다. 여러 가지 방법론 중에서 특히 계량적 방법이 강조된다.
연구자가 습득하여야 할 계량적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실습을 병행하여 수업이 진행된다. 이 과목 수강을 위해서는 학부수준의 기초통계학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조사방법론세미나(Seminar in research methods)
연구자가 습득하여야 할 계량적 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실습이 토의식으로 이루어진다.
행정이론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정부행정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이론들의 역사와 내용을 천착하면서, 각 이론의 논리구조와 이념적 지향점을 파악하고, 각 이론들이 지니고 있는
학문적 및 실용적 유용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기존의 행정현상에 관한 연구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정교하게 비판할
수 있는 능력과 정부의 행정행위에 숨겨져 있는 문제점을 명료하게 이해하고 이론이 뒷받침된 문제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행정학방법론 (Methodologies of Public Administration)
본 강의는 행정학에 있어서의 제반 현상인식방법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본 강의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처음 4주 동안은 행정학방법론 전체를 개괄한 후, 과학철학의 3대 지류라고 할 수 있는 ‘자연과학적방법론’, ‘해석적 방법론’, ‘비판적 방법론’를 비교
검토하고, 각 방법론이 행정현상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게 된다. 그 다음 6주 동안에는 각 방법론과 연관된 주요기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마지막 3주 동안에는 각 연구 방법론과 분석기법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행정문제에 관한 기존 연구물들에 대한 비판과 학생 자신의 연구계획을
발표하고 토론하게 된다.
행정통계분석 I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에서 이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통계분석방법을 논하고,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응용을 시도한다.
<행정이론 분야>
관료제론 (Theories of Bureaucracy)
관료제에 관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행정학 분야에서의 이론들을 원전을 중심으로 천착하면서 정부기관으로서의 관료제, 조직운영 원리로서의
관료제, 정부와 시장 및 정부와 시민간의 권력적 관계유형으로서의 관료제의 특성과 관료제가 지니고 있는 필요학적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관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정부관리방식들에 관한 이론적 연구들을 검토하며, 관료제가 민주주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대안을 탐구한다.
인사행정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정부의 주요자원 중 하나인 공무원에 대한 관리이론과 기법들을 배우며, 우리나라와 주요 외국들에서 인사행정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며,
인사행정이 정부혁신의 핵심수단으로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또한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인사제도분야에서의
개혁작업들의 내용과 문제점들을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재무행정 (Public Financial Administration)
정부예산관리의 이론과 실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특히 우리의 정부예산제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오고 있는 미국예산제도의 운영의 실제를 중심으로
하여 예산과정, 예산관리, 예산개혁 그리고 국민경제와의 관계 등을 검토한다.
행정관리론 (Public Management)
신공공관리론의 관점에서 행정조직의 관리주체들의 역할을 이해하고, 조직 내 관리 시스템의 개선, 외부환경과의 작용, 시스템간의 통합 등을 통해서
관리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들을 연구한다. 주요내용으로는 공공관리이론, 관리하위시스템, 관리개혁제도, 행정서비스의 전달 등을 포함한다.
행정문제세미나 (Topics in Public Administration)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다양한 행정의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폭넓게 토론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건전한 판단력,
그리고 비판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행정사세미나 (Seminar in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서양을 망라한 행정의 역사 전반에 관하여 관리사상(management thought)의 흐름을 위주로 하여 살펴본다. 특히 행정학자로서의 생애를 갖고자하는 수강생들에게 현대행정(학)의 사적 의미와 맥락에 대한 이해와 앞으로의 방향에대한 조망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행정이론세미나 (Seminar on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공익, 권력, 관료제, 효율성, 민주성, 복잡성, 현대성, 시민 등 행정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논제들에 관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등 타학문
분야에서의 근본적인 이론들을 섭렵하면서 기존의 행정이론들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현대와 미래에서의 중요한 행정 이론적 논제들이 무엇이며,
이 논제들을 이론적 관점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를 탐구한다.
행정조직론 (Organization Theory)
현대적 조직이론을 검토하고 조직의 주요측면에 관한 검토 및 조직발전에 관한 논의를 주 내용으로 한다.
행정철학 (Administrative Philosophy)
행정의 이론과 실제의 바탕에 깔린 근본적인 입장 전제 등, 철학적으로 검토한다.
행정철학세미나 (Seminar in Administrative Philosophy)
행정의 이론과 실제의 바탕에 깔린 근본적인 입장, 전제 등을 철학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행정과 철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과학철학의 입장에서 행정학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조명해 보며, 행정에 있어서의 가치의 문제, 행정에 있어서의 공공철학의 문제, 그리고 행정윤리의
문제 등에 관하여 검토한다.
행정통제론 (Administrative Control)
행정통제를 관한 이론적 논의 및 각종의 제도적․비제도적 방안에 검토와 그 활성화에 대한 연구를 주 내용으로 한다.
행정학특강 (Special Lectures for Public Administration)
기존의 과목들에서 다루어지지는 않았으면서 최근 행정학에서 새로운 도는 중요한 주제로 주목받고 있는 이슈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정책학 분야>
도시정책및행정 (Urban Policy and Administration)
도시경영의 이론적 원류와 관리원칙을 파악한다. 생태론적 접근, 형태론적 접근, 신도시사회학적 해석, 정치경제학적 접근 등 도시문제를 분석하는
제 접근방식을 비교 설명한다. 도시의 주요 정책이슈인 토지 및 재개발, 교통 및 환경문제를 포함, 제반 공공서비스의 생산과 전달, 소비과정을 실제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도시정부, 기업, 기르고 시민단체(NGOs)가 어떠한 방식과 절차로 네트웍을 구성하는 거버넌스의 차원에서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축적되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의미를 한국적 상황에서 해석한다.
비교정책세미나 (Seminar in Comparative Public Policy)
각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분야별 정책(예컨대, 복지노동정책)의 내용과 원칙을 비교분석론적 차원에서 해석한다. 분야별 정부예산의 규모와 비중, 관여기관의 성격과 역할, 담당관료의 대표성과 전문성 등을
비교하고 특정정책의 채택 및 시행과정상에 나타나는 문화행태적 특성을 진단한다. 이와 같은 비교분석작업을 지방자치에도 적용시켜 설명한다.
즉,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그리고 인접지방정부간에 특정사업의 구성내역과 그 시행효과를 둘러싸고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비교정책 (Comparative Public Adminstration)
각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분야별 정책의 내용과 원칙을 비교분석론적 차원에서 해석한다. 분야별 정부예산의 규모와 비중, 관여기관의 성격과 역할,
담당관료의 대표성과 전문성 등을 비교하고 특정 정책의 대책 및 시행과정상에 나타나는 문화행태적 특성을 진단한다.
과학기술정책론 (Science & Technology Policy)
정책학의 기초 지식을 과학기술 정책분야에 적용하여 한국의 산업화과정에서 정부역할과 시장의 관계, 효율적인 정부개입의 조건, 기술정책의 중요도,
정책조정의 주요 특징을 고찰한다.
정부규제론 (Government Regulation)
정부의 규제정책에 대한 이론적 지식 습득이 수업의 주목적이다. 수업은 독과점규제, 경제적 규제, 환경규제, 사회적 규제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주제에 대한 이론강의가 끝나면 우리나라의 규제정책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추가된다. 이 과목 수강을 위해서는 학부수준의 미시경제학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정부기업관계론(Relationship of government and business)
정부와 기업관계, 정책결정과정과 기업의 대응, 시장과 사회제도 등을 폭넓게 다루게 되며, 정부와 기업관계의 건전한 정립을 위하여 선진국의 경험과
후진적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지향목표와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정책문제세미나 (Topic in Public Policy)
공공정책 사례들에 관한 집중적 논의를 통해 중요한 사회문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학생들은 정책체계의 구성요소를 분석의 틀로 하여
정책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요한 사회문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평가능력을 계발할 것이 기대된다.
정책분석 (Public Policy Analysis)
본 강좌는 정책학의 주요내용 중 하나인 정책분석이론의 발전배경과 그 수행과정 및 주요기법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운영연구(operations research), 체계분석(systems analysis)과 정책분석과의 차이점 및 다양한 분석기법의 소개 및 그 적용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정책분석세미나 (Seminar in public policy analysis)
특정 정책문제를 선택하여 정책분석을 위한 설계를 구성한다.
정책분석․평가세미나 (Seminar in Public Policy Analysis & Evaluation)
정책분석과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경향과 그 기법의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학생들은 특정 정책문제을 선택하여 정책분석을 위한 설계를 구성하고,
또한 특정 정책에 대한 평가를 설계하여 적용하는 연습을 하게 될 것이다.
정책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ublic Policy)
정책학의 주요이론을 실제 정책사례에 적용하여 정부정책에 대한 분석과 비판안목을 배양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정책과정별로 그동안 정책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증적인 정책연구 사례를 분석한다.
정책이론세미나 (Seminar in Public Policy Studies)
공공정책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대두된 배경을 설명하고, 국가가 정책을 통해 사회변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시각에서 해석한다.
우리나라 정책학연구의 방법론적 특성과 한계를 조명하고, 정책학 분야에서 생산된 지식의 성격을 이론발전(theory development)과 사회변화(social engineering)의 측면에서 해석한다. 의제설정단계, 정책형성단계, 그리고 정책집행 및 평가단계 등 일련의 정책과정을 다양한 모형과 실제사례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사회혁신과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법원의 적극관여(Judicial Activism)의 의미와 한계도 파악한다.
정책평가 (Public Policy / Program Evaluation)
본 강좌는 정책평가의 개괄적 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책평가의 발전배경 및 그 과정, 정책평가에 대한 접근법,
평가의 유형 및 그 방법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정책평가세미나(Seminar in Public policy evaluation)
특정 정책에 대한 평가를 설계하여 적용하는 연습을 하게 된다.
정책학특강 (Special Lectures in Public Policy)
정책학의 연구의 세계적 동향과 한국에서의 정책학 연구경향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작업은 국내․외의 주요 정책학 관련 학술지에 대한 실증적 내용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지방정책및행정 (Local Policy and Administration)
지방자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원류와 시행원칙을 파악한다. 우리나라 역대 지방선거결과 등 정권별 자치의 연속과 변화과정을 설명한다. 중앙과
지방정부의 권력관계와 기능분담, 지방재정운영의 합리화, 지역주민 복지문제, 그리고 자치경영실태를 분석한다. 나아가 정치경제학적 접근, 사회학적
접근 등 도시경영에 대한 신사고적 입장에서 도시토지이용 및 재개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문제 등에 대한 사례를 분석한다.
<비교행정 분야>
국제행정 (International Administration)
국제기구, 국제인사행정, 국제재무행정, 국제행정의 특수성을 검토한다.
발전정책및행정 (Development Policy and Administration)
국가발전을 위한 요인으로서의 행정의 개념, 환경구조, 쇄신, 전략 등을 검토한다.
발전행정세미나 (Seminar in Development Administration)
발전행정의 개념, 각 부문별 발전전략 및 발전에 관련된 인간적, 조직적 요인들을 검토한다.
비교공무원제도론 (Comparative Civil Service System)
각 국의 공무원 제도를 그 나라의 정치 및 사회적인 여건과 관련하여 비교 연구함을 주 내용으로 한다.
비교정부론 (Comparative Government)
정부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과 이론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국 정부체계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여러 가지 정치적․경제적 발전의 분제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비교행정 (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에 따른 접근과 주요이론의 검토 및 비교분석을 위한 다양한 논점에 대한 이해 및 각 국의 실태를 다룬다.
비교행정문제세미나 (Topics in Comparative Administration)
비교행정 분야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쟁점과 문제들을 중심으로 토론을 전개하여 실제 연구수행상의 적절성을 증진한다.
비교행정세미나 (Seminar in 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
비교행정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주요 논점 및 경험적 연구를 발표, 토론 중심으로 검토한다.
비교행정특강 (Special Lectures in 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
비교행정과 연관된 이론적 특성과 분석의 주요측면에 대한 내용을 심도있게 검토한다.
한국정부론 (Korean Government)
정부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정부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변화되어 왔나를 정치, 문화, 사회, 역사적
시각에서 검토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을 병행한다.
한국정부론세미나 (Seminar in Korea Government)
정부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정부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변화되어왔나를 정치 문화, 역사적 시각에서
검토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을 전개하여 실제 연구수행사의 적절성을 증진한다.
행정문화 (Administrative Culture)
행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의 행정문화에 관하여 종합적인 검토를 한다. 우선 행정문화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행정문화의 특징을 밝혀내기
위한 접근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각 국내지 각 지역 행정문화의 특징을 밝혀보고 이를 한국의 그것과 비교해 본다. 아울러 행정문화와
정보공개제도 간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