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웹메일
open
close

<br>
인권이란?
대학 내 인권침해 예방 및 대응

대학 내 인권침해 예방 및 대응

HOME > 인권 >  대학 내 인권침해 예방 및 대응

대학 내 인권침해 예방 및 대응

대학 내 인권침해는 친구 및 동료, 선배/후배, 교수/학생, 직원/직원 등 우리가 학교 안에서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들 속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평범한 일상 속에서 벌어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이것은 개인 간의 문제이기 보다는, 성별 및 직위 등의 위계에 따른 권력에 의해서 발생되곤 합니다. 따라서 이를 가볍고 사소하게 여긴다면 누군가의 고통과 상처는 외면 받게 되고 심각한 문제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대학 구성원의 인권을 존중하고, 상호간 예의를 지킵니다.
모든 구성원이 인격과 존엄성을 가진 자율적인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차이를 존중합니다.
물리적, 정신적, 언어적 폭력뿐만 아니라, 온·오프라인에서 특정 개인 및 집단을 표적으로 하는 차별과 혐오표현은 삼가도록 합니다.
학습·교육·연구·업무와 무관한 사생활에 대한 질문, 지위를 이용한 부당한 요구 등은 하지말아야 합니다.
평소 불필요한 신체 접촉을 하지 않고, 사생활 침해 소지가 있는 행동에 대해서는 먼저 상대방의 의사를 묻고 양해를 구합니다.

거절은 언제나 확실한 ‘거절’로 받아들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의 언동에 대한 거부 의사를 표시했을 경우, 그 행동을 즉각 중지합니다.
상대방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른 의사결정 결과를 언제나 존중하고, 명시적으로 의사표현을 하지 않았다고 하여 긍정과 동의라고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상대방이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고 불쾌한 표정을 짓거나 자리를 피하는 등의 행동을 하면 이를 거부 의사로 받아들이고 즉각 중지합니다.
자신의 행동이 폭력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사과하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지 않습니다.

피해자의 치유와 공동체 회복을 위해 노력합니다.
학내에서 사건이 발생했다면, 피해자의 고통을 외면하는 방관자가 아닌 적극적인 조력자가 되어줍니다. 피해자와 행위자를 대하는 주위 사람들의 태도와 대처방식은 문제 해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행위자에 대한 온정론이나 피해자 책임론적인 태도는 2차 가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피해자가 일상적인 생활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배려해야 합니다.
사건이 발생하면, 공동체에 대한 신뢰가 깨지고, 사건 당사자의 경우 관계를 피하거나 공동체를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사건 자체의 공정한 해결뿐만 아니라, 그 후 공동체를 회복시키고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학내 구성원이 함께 책임의식을 가지고 성찰한다면, 평등하고 인권친화적인 대학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대학 구성원 모두가 인권의식 및 성인지 감수성을 기르기 위해 노력한다면, 상호 존중과 배려의 문화를 조성하게 되고 인권침해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