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로고  

학부과정

서브메뉴박스배경

서브로그인배경

대학원 교과목 개요

※공통필수

 


미시경제분석 (Microeconomic Analysis) 

 

 개별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을 이해함으로써 생산물과 생산요소의 시장수요 및 공급의 결정원리를 구명하고 ,  시장가격의 결정 및 그 변동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이해한다 .  또 한 시장경제에서 자원배분의 원리와 그 효율성의 조건 ,  그리고 시장실패의 요인과 처 방책을 학습한다.

 

거시경제분석 (Macroeconomic Analysis)

 

 국민경제를 기본분석단위로 하는 거시적 시각에서 국민경제의 균형결정 ,  거시경제정 책의 국민소득,  물가,  고용 등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학습한다 .

 


 

 

※선택과목

 

국제통상법 ( International Commerce Law )

 

 세계무역기구 (WTO) 를 중심으로  WTO 의 목적 및 기능을 검토하고  WTO 가 추구하는 세계무역 질서의 기본원칙과 거래규범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국제연구실증방법론 ( Regional Study Methodology ) 

 

 지역연구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접근방법 그리고 실제 지역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통계분석 및 질적 분석 등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

 

국제무역론  ( International Trade Theory)

 

 국제분업 원리 ,  무역패턴 결정 ,  무역이익의 배분 및 무역과 경제성장 등 국제무역이론을 학습한다 .

 

국제수지론  ( Balance of Payments )

 

 국제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국제수지 조정 및 정책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

 

국제계약법  ( International Contract Law )

 

 무역거래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출입 업무절차에 관한 정통한 지식이 필요하다 .  무역거래의 의의 ,  시장조사 ,  계약조사 ,  수출입 절차 ,  수출보험 ,  해상보험 ,  신용장 결제 등에 관한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다룬다 .

 

응용게임이론  ( Applied Game Theory ) 

 

 응용게임 이론 하에서 각 경쟁자가 자기의 이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어떻게 선택하게 되는가와 ,  계약이론에 따른 주된 의무 및 책임 등에 관해 연구한다 .

 

국제금융시장분석  (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Analysis )

 

 국제 금융시장의 다각적 이해와 분석을 위해 외환시장 ,  환율 ,  물가 ,  금리관계 ,  외환위험의 측정과 관리 등을 학습하게 된다 .

 

한국경제론  ( Korean Economy Theory )

 

 GATT 체제 ,  나아가서  WTO 체제의 출범 등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우리나라 경제 ,  특히 기업의 대외활동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논한다 .

 

경제발전론  ( Economic Development Theory )

 

 경제발전의 이론 및 정책 이슈 등을 다룬다 .  경제발전의 의미 ,  발전의 목표와 경제발 전의 제 이론 그리고 발전의 전략과 정책과제를 검토한다 .  빈곤문제 ,  인구문제 ,  도시 화문제 ,  농촌 및 농업문제 ,  무역 및 자본도입문제 ,  개발계획문제 등 경제발전에 관련 된 제 과제를 다룬다 .

 

북미기업법  ( American Enterprise Law )

 

 Case Study 를 통하여 미국의 기본 계약법 및 상법의 기본개념과 원칙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국제경제발전사  ( History of Inter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

 

 국제경제의 발전을 세계자본주의 성립과 발전이라는 시각에서 검토한다 .  세계 자본주의 발전을 설명하는 제이론을 검토하고 국제경제의 발전을 제단계로 나누어 고찰한다 .

 

국제투자정책론  ( International Investment Policy ) 

 

 한국경제의 대외투자 활동을 어떻게 전개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전개시킴에 있어서 미국형모델과 일본형 모델을 대비시켜 봄으로써 한국의 정책선택방향을 논한다 .

 

국제경제정책론  ( International Economy Policy )

 

 국제경제체제에 있어서 경제활동을 통제하는 국제기구들의 제반 경제정책을 정책목 표 ,  정책수단 ,  정책결과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  경제정책의 이론적 근거를 다루고 그 의의와 한계를 고찰한다 .

 

국제경제현안분석  (Analysis of International Economic Status)

 

 국제경제환경은 새로운 국제경제질서의 재편으로 인하여 어느 경제분야보다도 빠른  속도로 변모하고 있다 .  이 과목에서는 국제금융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경제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  수업은 국제금융 현안에 관한 최신 문헌을 중심으로 한 세미나 발표 와 조별로 진행되는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국제정치경제론  (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 

 

 국제경제의 발전을 정치경제적 시각에서 다룬다. 국제경제의 발전과 과제를 경제와 국제금융과 투자, 국제 이민, 환경보호 등의 과제를 정치경제학적 시각에서 다룬다 .

 

지역경제분석  ( Regional Economy Analysis )

 

 세계 각국의 경제가 심화되는 세계화와 지역화의 와중에서 우리나라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분석을 하는 과목이다 .  강의의 전반에 이론적 분석을 마치고 후반에는 동아시아 ,  남아시아 ,  중동 ,  아프리카 , EU,  북미 ,  남미 등의 지역경제 에 관한 실증연구를 세미나형식으로 진행할 것이다 .

 

 IB Practice ( IB Practice ) 

 

 국제계약의 기본 계약인 무역계약을 검토한 후 그 외 대리점 계약 ,  기술이전 계약 ,  합작투자 등 주요 국제거래의 구조 및 원칙을 탐구한다 .

 

북미지역경제연구  ( North America Economy study )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북미경제의 주요활동과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중 ・ 일 경제연구  ( China & Japan Economy Study ) 

 

 후발국으로서의 일본이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쳐 오늘과 같은 선진공업국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나아가서 일본경제의 발전구조를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중국경제 의 발전구조의 특징과 한국경제와의 보완관계를 논한다 .

 

국제통상환경론  ( International Commerce Practice )

 

 GATT 체제 이후  WTO 의 출범 등 국제사회에서 변하고 있는 무역환경 ,  다국적 기업 들의 대외 활동 변화를 알아보고 앞으로 일어날 국제통상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 을 제시한다 .

 

통상정책세미나  ( Commerce Policy Seminar )

 

 종합상사 활동을 중심으로 한 ・ 일의 대외 유통활동의 능률성을 대비시키고 한국의 대 외 경쟁력 강화의 한 장르로써 대외유통활동을 어떻게 전개시켜야 하는가를 논한다 .

 

동남아경제연구  ( East & South Asian Economy Study)

 

 동남아시아 경제의 성장과 경제위기 ,  경제체제의 특성 ,  무역과 투자링크 등을 중점 학습한다 .

 

BRICs  경제연구  ( Brics Economy Study )

 

 세계경제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브라질 ,  러시아 ,  인도 ,  중국의 경제를 다룬다. 이들 국가의 경제발전 과정 ,  전략을 검토하며 한국과의 경제 협력관계 한국기업 의 이들 국가에 대한 시장진출 전략을 다룬다.

 

Business Law ( Business Law )

 

 상법의 기본적 개념과 원칙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International Law ( International Law )

 

 국가 간의 거래에 있어서의 국제법상의 권리 및 의무관계의 파악과 국제법상의 제재 ,  국제분쟁의 해결에 관하여 연구한다 .

 

Topics on Business Law ( Topics on Business Law )

 

 국제적인 Case Study를 통하여 상법의 기본적 개념과 원칙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Topics on International Law ( Topics on International Law )

 

 국제적인  Case Study를 통하여 국가 간의 거래에 있어서의 국제법상의 권리 및 의무 관계의 파악과 국제법상의 제재, 국제분쟁의 해결에 관하여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