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과정

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전공안내

다문화교육전공은 현직 교사, 예비 교사, 다문화 직종 종사자, 다문화 교육에 관심 있는 자 등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과 수행 능력, 그리고 소양을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탐구하고 함양시킴으로서 다문화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

 

현직 교사 및 다문화 직종 종사자들은 교육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최신 이론을 연구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관련 학부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지닐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 전반에 관한 지식과 지도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따라서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유능한 다문화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각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국가의 다문화 생활에 있어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다문화교육전공은 전공 기초, 전공 심화, 논문 연구 등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 기초 영역은 다문화교육 전공에 필수적인 이론과 방법을 연구한다. 전공 심화 영역은 한국과 아시아 문화, 역사, 사회 등에 대한 이론과 방법을 탐구한다. 논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 논문을 작성하도록 한다.

교육과정

연번

교과목명

시간

학점

국문

영문

1

다문화 정책연구

Introduction to Polic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2

2

다문화 사회연구

Study of Multi-cultural Society

2

2

3

다문화 교육론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2

4

다문화 교수학습방법론

Principl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Multi-cultural Studies

2

2

5

다문화 교육교재론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xtbook

2

2

6

다문화 사회문화교육론

Principl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Culture

2

2

7

다문화 시민교육론

Principle of Multi-cultural Civil Education

2

2

8

다문화 가족의 상담과 실제

Counselling for Multi-cultural Family

2

2

9

다문화 이해 교육론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2

2

10

다문화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2

2

11

다문화이중언어교육론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2

2

12

다문화교육실습

Practi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2

2

13

다문화커뮤니케이션

Multi-cultural Communication

2

2

14

다문화사례연구론

Case Study of Multi-culture

2

2

15

다문화 교육사 연구

Hist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2

16

다문화교육콘텐츠기획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2

2

17

 아시아 사회역사문화의 이해

 Introduction to Asian Society, History &Culture

2

2

18

한국어의 이해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2

2

19

한국 문화교육론

Principl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2

2

20

한국 다문화 정책의 이해

Introduction to Korean Multi-cultural Policy

2

2

21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의 이해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2

2

22

재외 한인사회의 이해

Introduction to Overseas Korean Society

2

2

23

국제이주와 이민정책

Immigration and Policy

2

2

24

이민, 다문화 가족 복지론

Principle of Multi-cultural Family Welfare

2

2

25

가족법 

Family Law

2

2

26

이민정책 법제론

Principle of Immigration Policy and Law

2

2

27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Immigration &Labor Policy

2

2

28

국제인권법 

International Human Rights Acts

2

2

29

한류연구

Studies of Korea Wave

2

2

30

세계의다문화교육연구

Study of World Multi-cultural Education

2

2

31

사회통합 교사교육론

Social Integration Principle of Teachers Education

2

2

32

사회통합정책론

Principle of Social Integration

2

2

33

논문연구1

Thesis 1

2

2

34

논문연구2

Thesis 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