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로고

학점 개요

 

 

과목 개요

  1. 문화예술경영론(Arts & Cultural Management)
문화예술경영론은 문화예술경영 형성의역사와 흐름을 이해하며, 문화예술경영의 학문적 근거를 학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적 전개와 쟁점, 예술현상의 특수성에 기반한 연구방법론 연구, 문화예술경영전문인의 자질과 리더십, 브랜드 및 특성화 전략 연구, 마케팅 및 관객개발 연구, 회계와 재원조성, 조직운영 등의 연구 단위와 함께 21세기 문화예술경영이 지향하는 통합적 방법론을 학습하게 된다.


  2. 미디어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Media)
본 교과목은 미디어 이용, 효과, 콘텐츠 등 미디어 관련 제반 현상을 실증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설문, 실험, 내용분석 등의 양적 연구방법과 심층면접, 참여관찰 등의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와 함께, 과학적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문헌고찰, 가설·연구문제 수립, 표본선정, 측정도구 설계, 자료수집·분석 등의 절차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와 실습이 이루어진다. 궁극적으로 미디어 관련 연구를 비판적으로 이해·분석할 수 있는 학문적 리터러시와 독자적으로 연구를 설계·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는다.


   3. 문화예술미디에이션개론(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s Mediation)
세계화의 부작용으로 인해 획일화된 문화상품들이 범람함에 따라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콘텐츠들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역은 문화권 중심지에서 떨어져 있어 제작 기술과 연출 노하우 면에서 부족함을 겪으며, 거버넌스 체계가 국가 차원과는 달라 우수사례의 일괄적 적용이 어렵다. 본 교과목은 인문지리학과 역사학을 기반으로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문화예술 사회학의 관점에서 유사한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로써 지자체와 지역민, 상향과 하향, 로컬과 글로벌의 양극을 중재하고 조화시키는 미디에이션 활동에 대해 학습한다.


  4. 영상예술정책 및 산업이슈(Issues of Visual Arts Policy and Industry)
본 교과목은 영화, 방송 등의 영상예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산업의 다양한 이슈 및 정책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예술 산업 트렌드의 변화와 이에 따른 관련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영상예술 문화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갖도록 한다.


  5. 공연예술과 문화도시(Performing Arts & Cultural City)
본 교과목은 세계문화도시의 성공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각국 문화도시를 실례로 연구 분석하되 특히 공연예술제와 지역문화페스티벌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특성을 살린 문화도시 육성책과 방안을 탐구한다. 세계의 대표적 문화도시를 탐방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지역문화와 공연예술계, 지속가능한 한류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6. 세계영화텍스트분석(World Cinema Text Analysis)
영상예술의 총아인 영화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통해 인간과 세계, 예술과 문화에 대한 다양한 상상력을 축적해 왔다. 유럽과 미국,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각 지역은 자신만의 고유한 영화적 전통을 수립하면서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거장 감독과 명작 영화들을 창조해 왔다. 이 교과는 세계 영화사를 구성하는 수많은 명작 영화텍스트 중에서도 주요 작품을 선정, 텍스트 분석 방법을 원용하여 분석, 해석함으로써 영화 언어코드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7. 큐레이터십입문(Introduction to Curating)
미술 및 전시 문화의 기본적 구성요소, 즉 미술관(또는 갤러리), 작가, 큐레이터, 관람객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작용하는가를 중심으로 기초적인 현장 감각을 익히고, 이를 학습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큐레이터학(curational study)의 학문적 저변을 이해한다.


  8. 문화미디에이션과 로컬거버넌스(Cultural Mediation and Local Governance)
지역 고유의 문화예술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과는 다른 시각으로 거버넌스 체계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본 교과목은 중앙과 지역(지자체)이라는 상이한 거버넌스의 역학 관계를 분석하는 동시에 지역 내부의 다양한 주체들을 중재하는 문화미디에이션 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


  9. 문화예술홍보론(Cultural Tourism Service Development)
문화 관광 산업과 문화 관광 서비스의 조건에 대해 이해하고, 국내, 해외 관광 상품 발굴 및 행사 기획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10. 공연예술학개론(Introduction to Arts Theory)
공연예술학의 기본개념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예술행위의 의미와 기능을 파악한다. 오페라, 연극, 무용, 뮤지컬, 오페레타, 카바레 같은 개별 공연예술장르에서의 다양한 표현수단과 기법, 대상, 관객과의 소통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11. 엔터테인먼트산업트랜드분석(Analysis of Media & Entertainment Industries)
본 교과목은 역동적으로 발전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관련 컨턴트 산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산업구조 분석, 컨턴트의 유통, 시장전략 및 최근 산업트렌드에 대한 개괄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발전방향과 관련시장의 반응 등을 예측한다. 세부적으로, 케이스 스터디, 관련 산업 트렌드 분석, 엔터테인먼트 기업 전략 분석 등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측면의 논의들을 탐색한다.


  12. 한국영화텍스트분석(Korean Cinema Text Analysis)
오늘날 한국영화는 한국적, 아시아적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한국영화는 영화에 대한 열정을 쏟아 부은 수많은 감독들과 작품으로 인해 꾸준히 전통을 축적해 올 수 있었다. 이 교과는 한국 영화사를 구성하는 명작 영화텍스트 중에서 주요 작품을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 방법을 원용하여 분석, 해석함으로써 한국영화사를 이해할 뿐더러, 한국영화의 독창적인 영화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13. 지역과 문화자원개발1(Regions and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1)
세계 인구의 절반은 도시(지역=마을)에 거주한다. 그러나 급속한 현대화와 거점의 이동으로 인해 도시 곳곳은 경제활동 저하와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대안으로 시도되는 도시재생 사업에 대해 살펴봄과 동시에, 지역의 특색을 살리고 도시 활성화를 도모하여 공동체의 자생력을 높이는 방안과 국내외 문화주도 도시재생의 사례(창조도시, 문화도시, 에코뮤지엄, 마을만들기, U-City, Slow City, 기업도시, Smart Growth 등)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도시재생 공동체 방안을 마련해본다.


  14. 글로벌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콘텐츠(Entertainment Industry and Global Market)
국내, 해외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구성 및 현황을 이해하고, 엔터테인먼트 산업 트랜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성공적 진출을 위한 전략을 설계한다.


  15. 문화관광상품개발론(Cultural Tourism Service Development)
문화 관광 산업과 문화 관광 서비스의 조건에 대해 이해하고, 국내, 해외 관광 상품 발굴 및 행사 기획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16. 미디어와 공연전시 및 기록(Media Arts &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Archiving)
포스트드라마 시대 공연예술은 다원 예술적이고 융복합적인 특성을 지닌다. 또한 기존의 예술미학이 공연예술을 영화와 차별화시키는 고유한 요소로서 일회적 현장성만을 강조해 온 반면, 미디어를 비롯한 첨단매체의 발달에 따라 공연예술은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미디어의 활용과 기록, 그리고 재현과 실제성 사이의 유희 가운데 공연예술은 탈장르적으로 더욱 다양화된 양상을 보이며 새롭고 무한한 가능성을 배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포스트아방가르드 공연예술론의 다양한 현상과 사례를 중심으로 동시대 공연예술의 양상을 진단해본다.


  17. 영화제 현장 탐방과 기획(Film Festival Field Work and Planning)
영화는 산업적 유통 구조뿐만 아니라 영화제라는 축제의 방식으로도 유통된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무수히 많은 국제영화제와 특별한 주제를 가진 영화제들이 상시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이 교과는 우리 주변에서 열리는 다양한 영화제 현장을 직접 탐방함으로써 영화제의 구조와 운영 방식, 영화제 관객의 태도 등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독립영화관이나 예술영화관은 또 다른 층위에서 작은 규모의 영화제라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화관 탐방도 교과 내용에 함께 포함된다. 이를 통해 영상예술 미디에이터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18. 문화예술법제연구(Study on Law and Institution of Arts & Culture)
문화예술법제연구는 문화예술진흥 관련 법률 체계와 제도 형성의 최근 동향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법제 연구의 대상은 문화예술진흥법을 중심으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공연법,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연계 법령 및 제도분석 등으로 주어지며,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은 추후 기초예술 진흥을 위한 법제정 및 제도 개선을 구상하여 법제도적 가능성을 타진해 볼 것이다.


  19. 지역문화연출방법론(Methodology of Local Culture Directing)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들은 내부와 외부 양면적 목표를 부여받는다. 내부적으로는 거주민과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어내고, 외부적으로는 관광객들의 관심과 공감을 이끌어내야 한다. 이 수업은 축제, 공연, 다크/라이트투어리즘 등 지역이 내세울 만한 콘텐츠를 제작해 고유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전략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인적, 물적 요소 활용 방법을 배운다.


  20. 미디어기술과 문화예술(Media Cultural Technologies)
본 교과목은 비문화기술 전공자에게 문화기반산업의 환경과 문화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을 소개하여, 인문, 사회과학, 행정, 정치, 디자인, 공연, 음악 등의 다양한 영역이 기술과 융합되는 과정에서 서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21. 세계국공립극장정책과 행정(Policy and Administration of National Theaters in the World)
세계의 대표적 국립극장을 비롯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 공공극장체제와 문화정책 사례들을 조사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각 지역의 정치 행정시스템 및 지원시스템을 연구 분석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우리 지역극장과 공공극장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한다.


  22. 단편영화제작실습(Practice of Short Film Production)
영상예술의 표상적인 장르인 영화는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의 과정을 통해 관객과 만나게 된다. 이 교과는 이러한 영화 제작 과정을 직접 체험해 보기 위한 실습 과목이다. 투자와 기획, 시나리오 작성, 콘티 구성, 스태프 구성, 캐스팅 등 전반 작업과 촬영 중심의 프로덕션 과정, 편집, 사운드 믹싱, 색 보정 등 후반 작업 등을 통해 영상물 제작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관련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실제 제작물을 산출하는 과업 중심형 교과로 운영한다.


  23. 디지털큐레이션실습(Practice of Digital Curation)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표현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영상, 웹사이트, 앱 등 온라인 플랫폼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수사항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콘텐츠 장르와 수의 증가로 인해 고품질의 문화예술 사례를 선별 소개하는 큐레이션 능력도 동시에 요구된다. 이 수업은 실습을 통해 디지털 및 온라인 콘텐츠 제작 능력을 계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24. 소셜미디어공유와 협력(Social Media, Sharing and Cooperation)
Web 2.0의 도입에 따라 기존의 디지털미디어 환경은 소셜미디어로 압축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페이스북, 마이크로 블로킹, 북마킹 등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하는 소셜미디어는 소셜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여 사회 구성원간의 새로운 관계 맺기는 물론 새로운 사회 질서를 탄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소셜미디어의 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정치적 함의를 짚어보고 미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 질서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경쟁, 독점, 중앙 집중 등의 기존 가치가 아닌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네트워크 사회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탐구한다.


  25. 공연기획과 프로덕션(Planning &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공연예술 현장 전문가들의 공연기획과 드라마투르기작업에서부터 무대제작과 시연, 그리고 촬영기록에 이르는 현장 사례들을 탐방, 조사하며 공공극장 현장에서 공연기획과 제작과정을 실습해 본다.


  26. 한국 영화관객성분석(Cinema User Analysis of Korea)
관객은 영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최후의 존재다. 이 교과는 한국의 영화 관객들이 어떠한 태도로 영화를 관람하는지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영화 관객성 분석 방법론을 학습할 수 있다. 텍스트 분석, 현지조사, 참여관찰, 심층면접, 초점집단토론, 설문조사, 관객 실험 등을 통해 한국 영화 관객이 보여주는 특정 감독, 장르, 국적 영화 등에 대한 특성을 직접 분석하고 결과물을 산출해낼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27. 박물관·미술관교육(Museums and Galleries in Education)
박물관ㆍ미술관 교육의 의미와 역사를 이해하고, 현재 우리나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문제점을 전제로 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학교 교육내용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과의 연계가능성을 이론과 실천의 통합적 방식에 의해 구체적으로 경험해 보고자 한다.


  28. 뉴미디어활용과 문화마케팅(New Media Application and Cultural Marketing)
지역의 콘텐츠가 자생력을 갖기 위해서는 외부 홍보를 통해 방문을 유도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관심과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와 MCN 등 뉴미디어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대학생과 졸업자에게 다채널 홍보 업무를 맡기는 기업과 기관도 늘어나는 추세다. 본 교과목은 뉴미디어 활용 실습과 문화예술 마케팅을 결합시켜 미디에이터의 기본소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9. 비교문화광고(Culture and Global Marketing)
한류의 부상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세계시장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본 교과목은 글로벌 시장에서 문화 소비자의 다양성에 주목하여, 각 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 광고 메시지 수립 및 글로벌 광고 전략의 방향성을 고찰한다. 광고메시지를 문화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글로벌 광고 커뮤니케이션 수업이다.


  30. 공연예술매니지먼트(Performing Arts Management)
공연예술작품의 광고 홍보 및 매니지먼트로부터 예술가나 예술단체의 홍보에 이르기까지 공연을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여러 가지 방법과 매체를 연구한다. 예술가 혹은 예술단체, 예술기관과 관련된 각종 법제 규정과 제도를 이해하고 제대로 운용할 수 있도록 실무적 훈련을 받는다.


   31. VR활용과 소비(Utilization and Consumption of VR)
영상예술은 반드시 특정한 매개체로서의 스크린을 통해서 관람 주체에게 전달된다. 오늘날 스크린은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은 이러한 변화의 단적인 사례다. 향후 인간이 만나게 될 새로운 ‘현실’로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토론하고 전망하면서 영상예술의 미래, 나아가 인간 세계의 미래를 함께 검토하고 논의한다.


  32. 박물관과 전시기획(Museum and Exhibition Planning)
박물관 전시기획에 관련된 제반 이론과 실무를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적인 전시기획을 사례탐구와 과제 등을 통해 실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