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대한국외대영어

 

  

 

 

 

 

 

 

Research Areas

 

 

Publications

location  l Program l Publications

글번호 : 157567925

작성일 : 21.09.08 | 조회수 : 120

제목 : 조영한 교수, 김국헌 연구원 (2020) Sport form Imperial Japan to Postcolonial Korea 글쓴이 : 국제협력전략센터
첨부파일 첨부파일: Jin+Cho_Sport+from+imperial+japan+to+postcolonial+korea.pdf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25(2); 2020 > Article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문화 냉전 시기 스포츠의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식민과 냉전 시기의 연속성과 단절을 조망한다. 이를 위해 이상백(1904-1966)의 올림픽 운동 참여를 중심으로 일본 제국과 탈식민 한국에서의 스포츠 활동을 살펴 본다. 1920년에서 1965년 사이에 이상백의 글, 뉴스 보도, 전기 그리고 관련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는 이상백의 올림픽 운동에서의 주요 특징을 탐색하고, 주요 특징으로 “아마추어주의를 위한 스포츠”, “민족이 아닌 국가를 위한 스포츠” 그리고 “국제주의를 통한 스포츠”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이상백 올림픽 운동의 주요 특징은 여러 역사적 상황 속에서 탈/식민 엘리트로서 생존하거나 번영하기 위하여 그가 활용하였던 전략이었다. 식민 시기 엘리트에서 탈식민 사회의 창립 인물로 전환한 그의 모습은 당시 식민 지식인들의 딜레마와 혼란뿐 아니라 한국에서 식민과 냉전 체제 사이의 부인할 수 없는 연관성을 보여준다. 해방기 동안 이상백의 스포츠 참여에 대한 검토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동아시아 올림픽의 문화 정치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Go to : Goto

Abstract

This study illuminates the continuity as well as disruption between the colonial and the Cold War periods by exploring the roles of sports during the Cultural Cold War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Lee Sangbaek’s (1904-1966) sports activities with a focus on his Olympic movements both for Imperial Japan and postcolonial South Korea. By reading his writings and news reportages on him between 1920 and 1965, his biography and previous studies, we highlight key narratives of Lee’s Olympic movements, which are summarized as “sport for amateurism,” “sports not of nation but of state,” and “sport through internationalism.” These narratives were strategies that Lee had to embrace or deploy in order to survive or prosper as a post/colonial elite in different historic stages. His transition from colonial elite to the founding figure in postcolonial society reveals not only the dilemmas and disruption of colonial intellectuals, but also undeniable connections between the colonial and the Cold War regimes in Korea. The review of Lee’s participation in sport throughout the liberation period provides a useful reference point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Olympics in East Asi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 목록으로